[윤석열 시대] K-OTT도 글로벌 대세 따른다...‘자율등급제’ 날개 장착 임박
상태바
[윤석열 시대] K-OTT도 글로벌 대세 따른다...‘자율등급제’ 날개 장착 임박
  • 고명훈 기자
  • 승인 2022.05.26 17: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 하반기 미디어 컨트롤타워·OTT협의체 출범...업계 강조한 자율등급제 도입 유력
-이종호 장관, OTT 주무부처 역할 의지 표명...“조만간 방통위·문체부와 3자 논의할 것”
-규제완화·세제지원 등 미디어 진흥정책 이행도 재차 약속...업계 “글로벌 도약 원년 기대감”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한국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업계에서 강력히 요구해온 영상물 자율등급제 도입이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 정부에서 OTT 자율등급제 도입 추진 내용을 포함한 디지털미디어 혁신성장 정책을 수립·공표했으며,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취임 후 미디어업계 첫 간담회 일정으로 한국OTT협의회와의 만남을 갖고 재차 이를 강조하며 국내 OTT 산업의 글로벌 도약 지원을 약속했다.

새 정부의 국정과제 이행계획서에 따르면 정부는 민·관 합동으로 구성된 OTT협의체 구성 및 OTT 자율등급제 도입 등 추진 시점을 올 하반기 안으로 보고 있다.

웨이브, 티빙, 왓챠 등 국내 OTT 업계에서는 환영하는 분위기다.

26일 국내 한 OTT 업계 관계자는 녹색경제신문에 “기존 미디어 환경에 맞춰진 현 국내 규제체계가 OTT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계속 나오고 있다”라며, “다행히 새 정부에서 이러한 목소리에 공감하고 최근 업계 의견을 반영한 규제 개정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정부에서 기존 계획대로 연내 OTT 자율등급제를 포함한 규제 완화 정책을 마무리한다면, 새 정부가 들어선 올해가 국내 OTT 사업자들이 글로벌 판로를 넓힐 수 있는 원년이 되지 않을까 전망한다”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한국OTT협의회 공동의장. [사진=한국OTT협의회]
한국OTT협의회 공동의장. [사진=한국OTT협의회]

현 한국 OTT 산업이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 등 거대 OTT 사업자들의 자금력과 가입자 규모에 밀려, 세계에서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맥을 추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업계에서는 한국 OTT 업체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OTT 환경에 적합한 콘텐츠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자율등급제 도입이다.

자율등급제는 각 미디어 플랫폼 사업자들에게 영상 콘텐츠에 대한 자체등급 분류 권한을 주는 것으로, 특히 드라마나 예능 등 주기적으로 콘텐츠를 올려야 하는 OTT 환경에서 신속한 공급에 꼭 필요한 제도로 지목된다. 현재 국내 OTT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는 모두 영상물등급위원회의 사전등급분류 절차를 거쳐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OTT는 타 플랫폼과 달리 트렌드에 매우 예민해 콘텐츠 공개 시기를 한번 놓치면 경쟁 구도에서 크게 뒤처질 수밖에 없는 특성을 가진다”라며, “이용자에게 콘텐츠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서라도 자율등급제를 도입하는 등의 미디어 정책 개선이 하루빨리 이뤄져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율등급제 외에도 윤 정부는 국내 OTT 산업의 법적 정의를 새로 정립하기 위해 최소규제를 내용으로 하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을 추진하고 OTT와 방송, 통신, 제작사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를 구성한다는 등 계획도 내놨다.

특히, 국내 미디어 전략의 컨트롤타워를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부응해 관련 전담기구를 신설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OTT를 비롯한 새로운 미디어를 육성하는 데 초점을 맞춰 미래전략과 산업진흥정책을 마련한다는 것이 주 골자다.

이와 관련해 이종호 과기부 장관은 전날 국내 OTT 업계 및 학계 전문가 간담회를 마치고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OTT 주무부처로서의 역할을 하겠다며 입장을 공고히 했다. 조만간 방송통신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 등 부처들과 만나 논의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OTT 등 디지털미디어 콘텐츠 산업 선순환 발전과 혁신성장을 위해 규제 완화와 세제지원 등 제도 개선에 속도를 내겠다며 콘텐츠 진흥정책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를 다시 한번 강조했다. 글로벌 진출을 도모하는 국내 OTT 업체들에 정부 차원의 콘텐츠 제작 투자 규모를 확대하고 기술적인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고명훈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