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약정 할인율 상향으로 알뜰폰 업계가 타격을 받는 '풍선효과'가 본격화되고 있다. 여기에 더해 내년 월 2만원대의 보편요금제가 도입되면 알뜰폰 업계는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현재 논의중인 '단말기 자급제'의 빠른 시행 등이 거론되고 있다.
15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25%로 선택약정 할인율이 상향된 9월 이후 알뜰폰에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3사로 번호이동한 숫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8월까지는 이통3사에서 알뜰폰으로 옮긴 가입자가 더 많았다.
지난 9월 알뜰폰에서 이탈한 가입자수는 366명에 그쳤으나 10월에는 1648명으로 5배 가량 증가했다. 선택약정 할인 혜택과 삼성전자, LG전자 등이 출시한 하반기 전략 스마트폰에 대한 수요때문으로 분석된다.
그간 알뜰폰 사업자들은 출시된 지 1년 이상 지난 구형 프리미엄 스마트폰과 중저가 스마트폰을 주력 상품으로 해 저렴한 요금으로 가입자 수를 늘려왔다. 최신 스마트폰 확보가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수익성이 높은 최신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고가 요금제 가입자 확보가 알뜰폰 업계의 약점으로 지목돼 왔다.
이같은 상황에서 이통3사의 선택약정 할인율이 상향되자 가입자들이 대거 이통3사로 이탈하고 있다. 갤럭시노트8, V30, 아이폰8 등 100만원 이상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대기수요가 해소되는 과정에서 할인 혜택이 높아진 이통3사로 갈아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가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더 많은 데이터를 사용해 상대적으로 고가의 요금제를 이용하고 있기도 하다.
알뜰폰 업계는 망 도매대가 협상에 기대를 걸었지만, LTE 정액요금 수익배분 도매대가 비율은 전년 대비 평균 7.2%포인트 내리는데 그쳤다. 정부 목표인 10%포인트에도 못미쳤고, 알뜰폰 업계의 기대와는 거리가 있는 수치다. 특히 데이터 11GB 이상 요금제의 인하율이 1.3%~3.3%포인트 인하에 불과해 실질적인 인하 효과는 더욱 미미하다는 평가다.
알뜰폰 업계의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대형마트 홈플러스가 알뜰폰 사업 철수를 결정했다. 알뜰폰 1위 사업자인 CJ헬로비전도 보편요금제가 도입될 경우 사업 철수를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며 위기감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대책으로는 단말기 자급제의 시행이 언급되고 있다. 알뜰폰 사업자들이 최신 스마트폰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양질의 가입자를 유치하지 못하는 약점을 해소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단말기의 유통과 통신서비스가 완전히 분리돼 서비스와 요금으로만 경쟁하면 저렴한 가격의 알뜰폰 사업 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란 분석이다.
한편, 이통3사는 보편요금제 도입을 두고 정부와 줄다리기 중이다. 정부는 예정대로 보편요금제를 추진한다는 방침이지만 이통3사의 반발이 거세다. 이통3사는 정부에 의견서를 내고 시장경쟁에 위배, 투자여력 감소 등을 이유로 반대의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편요금제가 도입되면 매출에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하고 통신요금 연쇄 인하 효과로 이통사의 수익성이 크게 낮아질 가능성이 있어서다.
다만, 법 개정이 필요한 사안이라 여야 의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며 도입 시기는 불분명한 상황이다.
단말기 자급제와 관련해서는 이통3사도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분위기다. 마케팅 비용 절감 효과와 함께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에 기반한 선택약정 할인에 대한 부분도 재조정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보편요금제 추진 동력도 약화시킬 수 있는 판단에서라는 분석이다.
백성요 기자 lycaon@greene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