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며 신재생에너지의 남북 경제협력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리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율을 2030년 30%까지 올리는 방안을 발표했고, 북한도 1993년 이미 '신재생에너지개발센터'를 설립하는 등 협력의 점접이 있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풍력발전, 전력 공급 등 에너지 관련 기업들의 남북 경협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고, 시장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수혜주에 대한 관심도 생겼다.
신현준 하나투자증권 연구원은 "북한은 김정은 시대 들어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해 적극적 육성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낮은 가정용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중앙 송전망과 분리된 지역발전 형태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소가 최적일 수 있다”며 전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발표한 정책지원사업(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북한지역 에너지자립도 향상을 위한 남북 신재생에너지 협력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를 포함했다.
그러면서 “향후 남북이 본격적 경제협력을 시작하면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협력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신재생에너지 협력이 북한의 에너지 자립도 향상과 함께 국내 관련 산업의 육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체계적 진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 지역 진출을 위해 국내법 등 관련 법령 개선도 추진하고, 남북 간 긴장 완화 수준에 따른 단계별 시나리오를 그려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력 사정이 열악한 북한은 일찍부터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에 관심을 보여 왔다.
연료를 수입하지 않는 신재생에너지를 주체사상 이념에 맞는 에너지원으로 여기며 1993년 '신재생에너지개발센터'를 설립하는 등 장기간의 경험 및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김정은 위원장은 풍력, 태양광, 수소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의 구체적 발전 목표를 담은 '자연 에네르기 중장기 개발계획'을 발표하고, 여러번 신년사와 당대회 등에서 '자연에네르기'사업의 중요성을 설명하며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발전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우리 정부 역시 탈원전 선언 이후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힘을 쏟고 있다. 원전 비중을 약 7%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약 14% 끌어올리는 계획을 내놓았으며, 최근 정부 발표에 따르면 보급실적은 작년 1분기 469.2MW에서 지난 1분기 1185.5MW를 기록하며 작년 대비 2.5배 상승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 중 특히, 풍력발전 분야에서 가장 활발한 협력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풍력발전 업종도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풍력발전 관련 회사인 한일단조와 유니슨, 동국S&C, 태웅 등의 주가도 올랐다.
풍력발전이 가능한 북한 지역의 발전 가능 용량이 43.6GW로 남한의 25.5GW와 비교해 약 1.7배 높고, 북한 전체 면적의 18% 수준이 풍속 초당 4.5m/s 이상인 지역이다. 서해안 지역은 풍속 8~10m/s의 남서풍이 안정적으로 불어 대규모 풍력발전이 가능하다는 평가다. 또한, 개마고원 지역의 높은 풍력밀도가 육상풍력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현재 북한은 북한과학원이 100kW 풍력발전기를 자체개발에 성공한 정도의 수준이다. 유니슨이 4.2MW 터빈의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것과 비교해보면 상당히 낮은 수치다. 남북간 경협을 통해 국내 기업들이 북한 시장에 진입하게 되면 북한의 전력난 해소를 전제한 경제 협력이 가능하다.
북한은 2044년까지 5GW의 재생에너지 설비를 투자해 전체 발전량의 15%를 풍력으로 확보한다는 전력 수급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 북미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고, 국내 기업들의 투자가 본격화되면 신재생에너지발전을 위한 다양한 협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태양광발전 사업을 추진하는 신성이엔지와 한국테크놀로지, 에스에너지, 한화케미칼, 웅진에너지 등 태양광발전에 필요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의 주가도 상승세에 있다.
정지원 기자 lycaon@greened.kr
저작권자 © 녹색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