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중소기업인의 착상ㆍ집념이 일궈낸 ‘가파도의 변신’
상태바
한 중소기업인의 착상ㆍ집념이 일궈낸 ‘가파도의 변신’
  • 편집부
  • 승인 2012.09.21 08: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수종 칼럼니스트
2010년 2월 8일 ‘가파도의 꿈’이라는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제주 본섬과 마라도 사이에 납작하게 누워있는 가파도는 넓이가 27만평이고, 농사 반 고기잡이 반(半農半漁)으로 생계를 꾸려나가는 134세대 281명의 섬주민이 삽니다.

최남단이라는 이유로 연 30만 명의 관광객이 마라도로 몰려가지만 가파도는 아무도 쳐다보지 않아서 사람이 그리운 섬이라는 이야기, 이 곳을 ‘탄소 없는 섬’으로 바꾸어 생태관광지로 만들겠다는 한 중소기업인의 집념을 그때 소개했습니다.

2년 반 만에 찾아 본 그 섬은 정말 많이 변했습니다. 그때는 없었던 풍차 2대가 큰 날개를 펼치고 서 있었습니다. 그때는 거미줄 같은 전선을 연결해 놓았던 140개의 전봇대가 하나도 없이 사라졌습니다.

 
동네의 모습도 달라졌습니다. 그 때는 우중충한 회색 또는 녹색이었던 지붕이 모두 연황색 지붕으로 변했습니다. 31세대의 주택 마당에는 태양광발전 패널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또 달라진 게 있습니다. 전기차 석 대가 앙증스럽게 부둣가에 서 있었고, 전기차 충전소가 세군데 설치되었습니다.

지난 10일 가파도는 우근민 제주도지사가 참석한 가운데 ‘탄소없는 섬(Carbon-free Island) 선포식을 가졌습니다. 외형상 가파도는 이제 화석연료 없이 돌아가는 섬이 되었습니다. 지난 수십 년 간 썼던 디젤발전기 3대를 조만간 중단하고, 휘발유 자동차 넉 대를 전기차로 바꾸면 가파도는 명실상부한 ’탄소 없는 섬‘이 됩니다.

재생에너지의 생산 및 송배전 시스템을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스마트그리드(Smart-grid), 즉 지능형전력망이 완비되었습니다. 21세기 에너지 문제 해결의 추세라고 할 수 있는 신재생 에너지와 스마트그리드의 결합이 이 작은 섬에서 시험 체제를 갖춘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최초의 시도이고 외국에도 이런 사례가 아직 없지 않나 생각됩니다. ‘탄소 없는 섬’ 구상이 민간인 차원에서 창안되고 2년여 만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지난 15일 끝난 세계자연보전총회(WCC)의 힘이 큽니다. 대규모 자연보전총회를 유치한 정부나 제주도로서는 이 국제회의 컨셉에 맞는 상징 사이트를 필요로 했고 ‘탄소없는 가파도’는 안성맞춤의 프로젝트였습니다.

가파도를 이렇게 바꾸는 데 100억원 이상이 들었습니다. 중앙정부와 제주도 그리고 에너지 관련 기업들이 이 돈을 내놓았습니다. 이 작은 섬에서 투하자본을 회수할 길은 전혀 없습니다. 정부는 신재생 에너지정책의 시험장으로서, 기업은 스마트그리드 노하우 축적과 장차 유리한 사업권 확보를 위해 참여했을 법합니다.

가파도가 변한 모습을 현장에서 보면서 결코 작은 섬에 국한된 작은 일이 아니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기후변화와 에너지 문제의 흐름으로 볼 때 신재생에너지와 스마트그리드는 21세기 에너지정책의 중요한 맥락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가파도의 변신은 한 사람의 중소 기업인의 착상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김대환 대경엔지니어링 대표는 원래 강원도 횡성 사람으로 한양대 전기과를 졸업하고 군 생활을 서귀포에서 하다가 제대 후 서귀포가 좋아 눌러 앉은 사람입니다. 텃새가 지독히 센 이곳에서 그는 전기엔지니어링 회사를 차려 특유의 끈기와 돌파력을 발휘하여 전국에서 공사 수주를 따내며 회사를 키워나가는 사람입니다.

김대환 대표는 군 생활을 하던 80년대부터 마라도의 그늘에 가려서 아무도 관심을 보이지 않던 가파도를 좋아해서 자주 찾았습니다. 회사를 차린 후부터는 직원들을 데리고 가파도로 봉사활동을 가기도 했습니다. 그의 얘기를 들어보면 가파도를 사랑하게 된 연유는 두 가지로 요약됩니다. 첩첩산중인 횡성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그는 탁 트인 바다만 보면 세상이 자신의 품에 들어온 것 같아 기분이 좋았고, 가파도에서 바라보는 한라산 경치가 가장 아름답다는 이유였습니다.

21세기로 접어들면서 기후변화 이슈와 더불어 신재생에너지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했습니다. 김대환 대표는 전기엔지니어로서 이런 흐름을 감지하며 아무도 생각하지 못했던 색다른 꿈을 꾸기 시작했습니다. 가파도를 화석연료를 쓰지 않는 생태환경 관광지로 만들어보자는 구상을 한 것입니다. 소위 ‘카본프리 아일랜드’ 구상입니다. 그러나 해녀와 어부가 대부분인 가파도 주민들에게 이런 개념을 설명하고 설득하는 것이 너무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그는 가파도에 관심을 가질만한 사람을 모았습니다. 대학교수, 시민운동가, 언론인, 문학가 등을 초청하여 가파도를 구경시켜주며 가파도를 사랑하는 모임(가사모)을 구성했습니다. 식목일마다 회사 직원을 동원하여 이 섬에 나무를 심었습니다. 올레길을 유치하여 아무도 찾지 않던 이섬에 연간 10만명이 오게 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공동체를 만드는 덴마크 관계자를 이 섬으로 초대하여 주민들을 자극했습니다.

가파도 주민 대표단을 구성하여 일본의 아오모리현 부근에 있는 에너지 자립마을 관광도 시켜주었습니다. 포스코 ICT 등 굵직한 에너지회사 관계자를 가파도로 모시느라 그는 갖가지 노력을 쏟아 부었습니다. 이런 일을 할 때마다 돈과 인력이 필요합니다. 그의 회사는 마치 가파도를 위해 만들어진 것 같았습니다.

제주도 공무원들은 지방 공직자 중에는 비교적 환경의식이 강하지만 가파도를 탄소 없는 섬으로 만드는 것을 ‘김대환 원맨쇼’ 쯤으로 생각하며 회의를 품었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 작은 섬에 쓸 예산을 마련하는 것이 쉽지 않아 보였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2012 세계자연보전총회라는 호기가 왔습니다. 불철주야 ‘탄소 없는 가파도’를 꿈꿔왔던 김대환 대표가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백방으로 뛰었습니다. 이미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 나서면서 김대환 대표의 그림자는 그리 크게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외형상 훌륭한 ‘카본프리 아일랜드’로 거듭났습니다.

주민들은 기분이 좋습니다. 태양광발전 패널을 설치한 가파도 주민들은 가구당 월 전기 요금이 4만 원 정도 절약됩니다. 전선 지중화로 볼라벤 같은 태풍에도 정전사태도 발생하지 않았고, 전봇대가 쓰러져 감전사고가 날 위험도 사라졌습니다. 무엇보다 관광객이 연간 10만 명씩 찾아오는 북적이는 섬이 되었고 스마트그리드 학습의 장이 되었습니다.

가파도의 변신은 시대의 흐름이 가져온 선물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한 중소기업인의 집념이 한 섬을 변화시키는 현장을 보면서 창의적인 인간의 힘이 얼마나 세상을 재미있게 바꾸는 것인지를 실감하게 되었습니다.

ㆍ김수종 전 한국일보 논설위원
 - 한국일보에서 30년간 기자 생활. 환경과 지방 등에 대한 글을 즐겨 씀.
 - 저서로 '0.6도' '다음의 도전적인 실험' 등 3권이 있음.

 

편집부  ggalba@naver.com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