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미싱 중 공공기관 사칭 빈도 70%..."비대면·온라인, 상대 믿지 마세요"

경찰서 출석 요구?...출석요구서 등 확인해야 금감원은 기관 상대...국민 상대 문자 발송 X

2024-09-09     우연주 기자

[녹색경제신문 = 우연주 기자] 스미싱 중 공공기관을 사칭하는 빈도가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관계 당국은 상대를 직접 만나거나 전화·영상통화를 통해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전에는 함부로 요구를 들어주지 말 것을 당부했다. 

진짜 경찰이 연락한 것과 사칭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냐는 질문에 경찰청 관계자는 "다양한 상황이 있겠지만 비대면·온라인 상황에서는 상대를 함부로 믿지 않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그는 "만약 경찰서로 출석해야하는 상황이라면 서면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며 "1차, 2차 출석요구서를 보내게 돼 있다. 상황이 급박할 때는 경찰관이 현장에 출동하게 돼 있다. 문자나 전화통화로 '경찰이니까 믿어라'고 주장하는 것은 사칭일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금융 당국을 사칭해 대출 신청서류 작성이나 앱을 깔도록 유도하는 경우도 있지만 공공기관이 이런 문자를 보내는 경우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금융감독원은 기관을 상대하는 만큼 문자를 보낼 일이 없다. 금감원이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링크를 보낼 일은 없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관계 당국에서 탐지한 문자사기 현황(2022년~2024 상반기)을 살펴보면, 공공기관을 사칭하는 유형이 합계 116만여 건(71.0%)으로 가장 많다. 

청첩장, 부고장 등 지인 사칭형도 27만여 건(16.8%)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올해는 주식·가상자산 투자 유도, 상품권 지급 등 투자·상품권 사칭형이 2만여 건(1.3%)으로 전년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유포된 미끼 문자를 통해 원격조종이 가능한 악성 앱이 스마트폰에 설치되면 재산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화, 영상통화 등으로 상대방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전에는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는 상대방의 요구에 응하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