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자율주행 기술, 비민주적 과정이 리스크... "韓, 자주적 소프트웨어 개발 서둘러야"

중국 기술 압도적이지만 과정 속 잡음이 글로벌 화에 걸림돌 국내 차량 소프트웨어, 해외 기술에 의존 소프트웨어는 첨단 산업의 밑거름, 투자 확대해야

2025-02-04     김지윤 기자

[녹색경제신문 = 김지윤 기자] 자율주행이 미래 산업 판도를 바꿀 핵심 기술로 꼽히는 가운데 국내도 자주적 기술력을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 자율주행은 AI처럼 중국과 미국 양강체제다. 특히 중국의 기술력이 무섭다. 전문가들은 중국 BYD의 자율주행 기술이 테슬라보다도 앞서 있다고 평가한다. 중국의 자율주행이 앞설 수 있는 이유는 과감한 규제 완화를 통해 빠른 시간 안에 많은 데이터를 쌓아왔기 때문이다. 

중국의 디트로이트로 불리는 우한을 비롯해 베이징, 상해, 선전 등 많은 도시에서 완전 무인 자율주행 차들이 주행을 학습하고 있다. 미국에서도 샌프란시스코, 피닉스, 디트로이트, 라스베가스 등 다양한 도시에서 자율주행을 시범운행하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 수집, 규제 완화에 있어 강력한 중앙정부를 가진 중국만큼 공격적이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중국 자율주행 기술, 딥시크처럼 과정 투명성 논란이 발목 잡을 수도

장기적인 관점으로 봤을 때, 이런 호전적 기술 개발이 중국을 세계의 테크놀로지 리더로 만들어줄지에 대해서는 의문점이 있다. 충분한 사회적 합의를 건너 뛴 상태에서 수집된 데이터들이 소비자에게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메이드 인 차이나' 딱지표가 소프트웨어에까지 따라 붙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크고 작은 자율주행 관련 사고들이 나고 있지만 중국 당국이 이를 축소 보도 혹은 은폐하고 있다는 의혹도 여러차례 불거진 바 있다. 이 달에는 항저우에서 자율주행 배달 차가 갑자기 속도를 높여 승용차와 추돌하는 사고가 발생했지만 중국 공안은 이를 승용차 운전자의 과실로 판단했다. 

중국에서는 현재 자율주행 차량 주행 중 난 사고에 대해 책임을 물을 수 있는 법적 제도가 미비해 시민들이 사회적 비용을 떠안고 있는 실정이다. 기술 개발 과정에서의 비민주적 행보가 글로벌 소비자들에게 어필하는 데 있어 큰 장애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최근 뜨거운 감자인 중국의 '딥시크(deepseek)'가 개인정보 활용, 반도체 우회수입 등의 이슈로 글로벌 시장에서 저지를 당하고 있는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한국의 차량 소프트웨어 기술 미비, R&D 적극 지원해야

한국은 아직 자율주행 기술력에서는 크게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자율주행 고도화를 위해선 무엇보다 넓은 테스트베드가 필수적인데, 면적 자체가 좁은 한국은 불리할 수 밖에 없다.

소프트웨어 원천 기술의 부족 또한 문제점으로 꼽힌다. 차량 소프트웨어 컨설팅 기업 씨엔비스(주)의 한 관계자는 "현재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클라이언트의 니즈에 맞춰 소프트웨어를 설계해주고 있는데 대부분 해외에서 개발된 모델들이다"며 "국내에서는 해외의 소프트웨어를 수입해 업체의 아이덴티티에 맞게 재설계해 사용하는 구조"라고 말했다.

차량용 소프트웨어는 역시 미국과 중국이 가장 앞서있으며 이 외에도 독일과 인도가 주요 개발국으로 꼽힌다. 독일의 보쉬(Bosch), 콘티넨탈(Continental), ZF 같은 부품사들도 차량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강점이 있으며 AUTOSAR(자동차 SW 표준)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인도는 소프트웨어 아웃소싱에서 강점을 보인다. 타타 엘렉시(Tata Elxsi), 인포시스(Infosys), TCS(Tata Consultancy Services) 같은 인도 IT 기업이 소프트웨어 개발을 담당하며 독일, 미국, 일본 등의 완성차 업체들이 인도 IT기업에 개발을 주로 의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동차 소프트웨어 기술은 비단 자동차 뿐 아니라 국방, 물류유통, 로봇 등 산업 전방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문제다. 국내 R&D 예산 확보, 이공계 인재 유출 방지, 해외 기술 투자 유치 등에 정부가 더욱 촉각을 곤두세워야한다고 전문가들이 입을 모으는 이유다. 

현재 많은 자동차 기업들이 자체적인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지, 타사에서 이미 개발한 모델을 라이센스 도입해 사용할 지 기로에 서 있는 상황이다. 현대자동차 역시 기존 모듈 방식의 자율주행 개발을 전면 수정해 엔드-투-엔드 방식으로의 대전환을 선언한 바 있다. 사실상 그간의 기술개발에서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다.

벤츠, 혼다, 도요타 등 글로벌 차 기업들이 중국의 소프트웨어를 도입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기업들이 소프트웨어 기술의 자주성을 지켜낼 수 있을 지 관심이 집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