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신규채용 '갈팡 질팡'...디지털혁신속 정부 입김이 최대 변수
AI·핀테크 등 디지털금융 확산으로 인력구조재편 불가피
인력수요는 감소하는데 일자리 늘려야한다는 정부 방침에 골머리
올 들어 첫 주가 이미 지나갔지만 은행권의 신입사원 채용계획은 아직도 오리무중이다.
은행권에서는 희망퇴직으로 대규모 인력이 빠져나갔지만 희망퇴직이 신규 채용확대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AI·핀테크·비대면거래 등 디지털혁신을 거듭하면서 은행권의 인력수요는 큰 폭으로 줄어들고 있어 대규모 인력구조 재편이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정부의 일자리 창출 의지를 나몰라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점 하나 없는 디지털뱅크 혁명 돌풍
현재 은행들은 인공지능, 핀테크 등을 기반으로 한 비대면거래강화, 지점 폐쇄 등 생산성을 높이는 합리화 작업이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KB국민 은행의 경우 제작년 말 1003개였던 지점은(출장소 제외) 작년 9월 기준 919개로 84개 지점이 문을 닫았다. 씨티은행은 129개 지점 중 39개 지점만 남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은행직원들의 업무를 대신할 인공지능, 핀테크 등의 기술발전과 비대면거래 등으로 인해 점포 통·폐합은 지속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은행업계 전반에 필요한 인력 또한 감소할 수 밖에 없다는게 업계 중론이다.
지난 2일 금융연구소가 내놓은 금융경제동향에 따르면 현재 종사하고 있는 은행원의 약60%는 자신이 맡은 직무가 사라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은행 임직원 3769명에게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자신이 종사하는 직무가 사라질 것인가?’라는 질문에 23.0%가 ‘매우 그렇다’, 36.5%가 ‘그렇다’고 답했다. ‘아니다’는 13.9%, ‘매우 아니다’는 3.8%가 나왔다.
또한 현재 직무가 로봇·인공지능으로 대체된 후 ‘은행 내부적으로 일자리가 새롭게 생성될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새로운 고용이 창출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36.9%가 ‘아니다’ 17.2%가 ‘매우 아니다’라고 답했고 ‘그렇다’ 20.4% ‘매우그렇다’ 4.5%로 조사됐다.
이처럼 은행 내부에서도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금융화로 인한 고용유지와 신규채용대한 위기의식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일각에서는 직원들의 직무대체, 인력감축을 수반할 수밖에 없는 디지털금융화 시대가 도래함으로써 ‘희망퇴직자’수가 ‘신입사원’으로 채워지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분위기다.
은행권, 신규채용 '갈팡 질팡'...디지털혁신속 정부 입김이 최대 변수 |
필요인력 감소 vs 채용확대 압박, 은행권의 깊어지는 고민
은행권은 지난해 말부터 올초에 걸쳐 항아리형 인력구조개선과 신규채용을 위해 희망퇴직을 단행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올해와 내년 임금피크제에 적용되는 만 55세 이상 직원과 만 53세 이상 지점장을 대상으로 작년 말부터 지난 3일까지 380여명에게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KEB하나은행은 작년말 임금피크제 대상자를 대상으로 퇴직 신청을 받아 총 207명의 직원들이 퇴직했다.
농협은행은 지난해 11월 10년이상 근무한 40세 이상 직원들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해 534명이 회사를 떠났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7월 희망퇴직 신청을 통해 1000여명의 직원이 퇴직했다.
신한은행은 지난 5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이전엔 부지점장급 이상에 대한 신청을 받았지만 올해부터는 연차와 나이에만 제한을 두는 등 지원 자격을 완화해 퇴직자 수가 작년보다 늘어날 전망이다.
국내 메이저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아직 올해 신규채용 계획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며 “상반기 이후에나 구체적 계획이 나올 것이다”고 전했다. 이 은행뿐만 아니라 대부분 은행이 올해 신규채용 인원에 대해 여전히 고심하고 있는 모습이다.
앞서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29일 신년사를 통해 “명예퇴직으로 인해 더욱 많은 청년채용이 이어질 수 있도록 ‘세대 간 빅딜’을 적극 유도하겠다”고 강조한바 있다. 명예퇴직이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설명이다.
업계에서는 필요인력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무리해서라도 신규채용을 할 것이라는 반응도 있다. 금융권에 입김이 강력하게 살아있는 정부가 일자리 창출에 목매고 있는데다 최근 은행권이 갑질, 채용비리 등으로 목소리를 제대로 내기 힘든 상황이기 때문이다. 국가적인 일자리 창출 전략에 있어서 금융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가히 절대적인게 현실이기 때문에 은행권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