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자영업자 채무불이행 위험 2015년 하반기부터 커져”
상태바
한은 “자영업자 채무불이행 위험 2015년 하반기부터 커져”
  • 김유진 기자
  • 승인 2019.09.16 16: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다중채무자인 자영업자가 증가한 영향…"모니터링 강화 필요"
[자료=한국은행]
[자료=한국은행]

여러 금융기관에 빚을 진 자영업자들이 늘면서 2015년부터 채무불이행 위험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16일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이 발표한 ‘금융업권별 소비자신용 네트워크를 활용한 시스템 리스크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자영업자의 시스템 리스크가 2015년 하반기 이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 연구는 2012년 3월부터 2017년 6월 한은 가계 부채 자료를 토대로 여러 금융기관과 거래하는 차주가 대출을 갚지 못했을 때 은행, 저축은행, 카드사 등에 미치는 손실을 추정했다.

자영업자의 채무불이행이 여러 금융권에 미치는 영향을 지수화(2012=100)해 전이지표를 도출한 결과 지수는 낮은 수준을 유지했지만 2015년 3분기부터 오르기 시작했다.

이는 자영업자 중 은행, 저축은행, 카드사 등 여러 금융기관에서 빚을 진 다중채무자가 2015년 하반기부터 증가한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다중채무자의 경우 대출 규모가 크고 빚 돌려막기를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 이들이 돈을 갚지 못하면 여러 금융기관이 피해를 입게 된다.

전체 차주를 놓고보면 전이지표는 2012년 1분기부터 2013년 2분기 동안 상승한 뒤 최근 큰 폭으로 하락했고 2017년 이후 다시 소폭 상승했다.

정호성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자영업자의 시스템 리스크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은행 이외 저축은행의 건전성 추이도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유진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