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우리금융 현 경영진 책임론 강조
상태바
금감원, 우리금융 현 경영진 책임론 강조
  • 박금재 기자
  • 승인 2025.02.06 15: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복현 금감원장, 현 경영진 책임론 강조
우리금융 지배구조 개혁 시도 가능성 제기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녹색경제신문 = 박금재 기자]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의 입지가 위태로워졌다. 임 회장 체제 하에서도 부당대출이 이뤄졌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중징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선 우리금융에서 이사회 변화 등 지배구조 개혁이 필요하단 목소리가 나온다. 

6일 녹색경제신문 취재결과를 종합하면 우리은행 고위 임직원의 부당대출 취급분 1604억원 가운데 987억원(61.5%)이 임 회장 체제에서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임 회장 등 현 경영진의 책임론을 강조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검사 결과 나타난 회사별 취약점에 대해서는 향후 재점검 등을 통해 개선 실태를 면밀히 확인할 것"이라며 "법규 위반 사항은 그 책임에 맞게 엄중 제재하겠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선 금융당국이 임 회장에 대해 중징계를 물을 수도 있단 관측이다. 금융사 임원 제재 종류는 ▲해임권고 ▲직무정지 ▲문책 경고 ▲주의적 경고 ▲주의 등 5단계로, 문책경고 이상을 중징계로 분류한다. 금고 이상의 형사처벌을 받거나 금융관련 행정제재를 받은 임직원은 5년 동안 금융사 임원으로 취업을 할 수 없다. 

임 회장 역시 지난해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책임져야 할 일이 있으면 책임지겠다"고 말한 바 있다.

임 회장에 대한 징계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우리금융 입장에선 회장에 집중된 권력구조가 부담스러워졌을 것으로 보인다. 임 회장의 거취에 문제가 생길 경우 경영 공백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업계에선 우리금융이 지배구조 개혁을 시도할 수 있단 관측이 나온다. 

현재 우리금융 이사회의 사내이사는 임 회장 혼자다. 통상적으로 핵심 계열사 수장인 은행장을 이사회 멤버로 두지만 우리금융은 2023년 3월 이원덕 전 우리은행장이 사임하며 비상임이사가 공석이 됐다. 업계에선 우리금융의 지주 회장 1인 사내이사 체제를 이례적이란 평가를 내리고 있다. 실제 4대 금융지주에서 다른 경영진이 이사회에 참여하지 않은 곳은 우리금융이 유일하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우리금융의 부당 대출 사대가 회장의 권한이 막대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면서 회장에 집중된 권력 구조가 바뀔 가능성이 높아졌다. 실제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다음달 주주총회에서 정진완 우리은행장을 비상임이사로 선임하는 안건을 상정할지 검토하고 있다. 

한편 임 회장은 지난해 자회사 임원에 대한 지주 회장의 인사권 폐지 등을 포함한 내부통제 강화 및 신뢰 회복 조치를 내놨다. 다만 업계는 금융당국이 이사회 역할 강화를 요구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우리금융이 이사회 변화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의견이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정진완 은행장의 비상임이사 선임에 대해 논의되고 있는 내용이 없다"고 말했다.

박금재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