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리더스] 풀무원 2기 전문경영인 '이우봉' 체제 출범... "ESG 글로벌 탑 티어 뛰어넘겠다"
상태바
[ESG 리더스] 풀무원 2기 전문경영인 '이우봉' 체제 출범... "ESG 글로벌 탑 티어 뛰어넘겠다"
  • 양현석 기자
  • 승인 2025.02.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진국형 지배구조 갖춘 풀무원... '글로벌 NO.1 지속가능식품기업'으로 성장
이우봉 총괄CEO "창립정신 이웃사랑과 생명존중 바탕 지속가능 가치 증진"

[녹색경제신문 = 양현석 기자] 재계는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ESG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제 ESG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ESG는 환경적 건전성(Environment)과 사회적 책임(Social), 투명한 지배구조(Governance)를 바탕으로, 기업 가치를 높이고 지속가능발전을 추구하는 경영 전략이다. ESG 중심에는 사람이 있다. 이에 <녹색경제신문>은 ESG를 이끄는 사람들을 연중 기획으로 소개한다. <편집자 주(註)>

이우봉 풀무원 총괄CEO.[사진=풀무원]
이우봉 풀무원 총괄CEO.[사진=풀무원]

풀무원은 2025년을 맞아 신임 이우봉 총괄CEO가 3대 총괄CEO로 취임하며 2기 전문경영인 체제로 새롭게 출범했다.

이우봉 총괄CEO는 1대 남승우(1984년~2017년), 2대 이효율(2018년~2024년) 총괄CEO에 이은 풀무원의 3대 총괄CEO가 됐다. 전문경영인으로 치면 이효율 총괄CEO에 이은 2번째 총괄CEO로 풀무원은 지난 2017년 말 33년간의 오너경영을 마감하고 2018년부터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해 선진국형 지배 및 경영구조를 갖췄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우봉 총괄CEO는 풀무원의 성장을 위한 4대 핵심과제로 ‘지속가능식품 확장’, ‘글로벌 시장 확대’, ‘ESG 경영 강화’, ‘푸드테크 통한 미래 대응’을 강조하고, 한국의 대표적인 바른먹거리 기업인 풀무원이 ‘글로벌 NO.1 지속가능식품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특히 이 총괄CEO는 <녹색경제신문>에 올해 풀무원의 ESG 경영 비전을 밝혔다. 이 총괄CEO는 "2025년 풀무원은 지속가능경영 방향성을 글로벌 ESG 평가에서 탑 티어(Top Tier)를 유지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를 뛰어넘어 사회적 그리고 환경적 가치를 창출해 이를 투명하게 이해관계자와 소통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자 한다"고 전해왔다.

또 "자사의 뛰어난 ESG 역량을 협력사를 비롯해 산업 전반에 확산하고, 이사회 중심 경영을 강화해 주주 가치 향상을 위해 노력할 것"이며, "올해도 풀무원은 창립정신인 이웃사랑과 생명존중의 가치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전반에 걸쳐 지속가능한 가치를 증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우봉 총괄CEO 취임으로 풀무원의 전문경영인 체제는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평을 듣게 됐다. ESG 요소 중 국내 기업들이 가장 취약하다는 지배구조 면에서 앞서가는 풀무원이, 2025년 어떤 ESG 경영으로 우리 앞에 다가올지 기대된다. 

이우봉 풀무원 총괄CEO.[사진=풀무원]
이우봉 풀무원 총괄CEO.[사진=풀무원]

풀무원의 '바른먹거리' 개념, 지속가능식품과 지속가능식생활로 확장


지난달 2일 열린 취임식에서 이우봉 총괄CEO는 "이효율 총괄CEO에 이어 3대 총괄CEO의 막중한 중임을 맡게 돼 어깨가 무겁지만, 제 뒤에는 회사의 가치와 바른먹거리 전파를 위해 불철주야 헌신하고 노력하시는 1만여 조직원 여러분이 있어 마음이 든든하며, 앞으로의 도전적인 미래 여정에 큰 힘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회사의 미래 비전에 대해서는 "풀무원의 바른먹거리 개념을 지속가능식품과 지속가능식생활로 확장하고 글로벌 K푸드 식문화의 핵심으로 발전시켜, 풀무원이 명실상부한 글로벌 NO.1 지속가능식품기업이자 지속가능식생활기업으로 우뚝 설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또, "빅데이터와 AI가 중심이 되는 지식 혁명시대에 지식작업자(Knowledge Worker)인 풀무원의 조직원들이 마음껏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직문화를 획기적으로 쇄신하고, 디지털 전환(DX)과 프로세스 혁신(PI)을 가속화해 풀무원이 한국에서 가장 일하기 좋은 미래 스마트 기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도 밝혔다.

이어 "올해는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시국 변동성으로 인해 지금껏 경험하지 못한 어려운 경영환경이 예상되고 있다"며 "우리 회사는 올해의 핵심 경영과제를 전사의 중장기 4대 핵심전략(식물성지향, 동물복지, 건강한 경험, 친환경 케어)과 연계한 실천적인 4대 과제로 정해 글로벌 경제 위기에 대비하고 제2의 도약을 위한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풀무원은 2025년 4대 핵심 실천과제로 ▲지속가능식품 확장 ▲글로벌 시장 확대 ▲ESG 경영 강화 ▲푸드테크 통한 미래 대응으로 정하여 핵심사업 전략과 미래 먹거리 성장동력의 방향성을 명확히 했다. 

이우봉 풀무원 총괄CEO.[사진=풀무원]
이우봉 풀무원 총괄CEO.[사진=풀무원]

 


이우봉, 공채 출신 첫 총괄CEO... '늘 한결같은 경영자' 평


이우봉 총괄CEO는 1988년 공채 4기 신입사원으로 입사해 36년간 재무회계, 구매, 영업, 전략기획, 계열사 대표 등을 거치며 풀무원의 성장과 발전을 같이 한 공채 출신 첫 총괄CEO다. 그는 입사 후 풀무원식품, 풀무원푸드머스, 풀무원샘물에서 경영지원, 구매, 외식사업 등을 맡아 업무능력을 인정받았고, 2019년 주요 계열사인 풀무원푸드앤컬처 대표를 맡아 코로나19 위기 상황과 적자를 극복하고, 흑자 경영을 실현하는 등 탁월한 경영 역량을 발휘하였다.

2023년 7월부터는 지주사인 (주)풀무원의 전략경영원장을 맡아 인사, 재무, 법무, IT, SCM 등 국내외 사업 전체에 대한 전략 수립과 실행 및 총괄 지원 업무를 수행해 왔다. 이뿐 아니라 전사 CXO(Chief Digital Transformation Officer)를 맡아 회사의 디지털전환 추진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AI 기술을 식품서비스사업에 적극 도입하여 업무 효율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다. 그가 전략경영원장을 맡는 동안 풀무원은 미국 S&P 글로벌의 ‘2023년 지속가능성 평가(CSA)’에서 글로벌 식품 분야 Top 5, 국내 식품 분야 1위에 오르고,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에 18년 연속 선정되며 국내 종합식품기업 부문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풀무원은 2018년 전문경영인 체제 출범 이후 7년 만에 2기 전문경영인을 풀무원의 고유한 최고경영자 선출 시스템인 총괄CEO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공정하고 투명한 추천과 엄격한 심사 및 검증을 거쳐 선정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전문경영인 체제의 모범을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차기 총괄CEO는 계열사 대표 시절 수백 개의 주요 사업장과 격오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시장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등 현장과 고객의 소리를 중요시하는 현장 중심 경영을 해왔으며, 향후에는 풀무원이 ‘글로벌 NO.1 지속가능식품기업’으로 제2의 도약을 할 수 있도록 글로벌 현장 중심으로 해외시장 개척과 K-푸드의 글로벌화에 적극적으로 앞장서 나간다는 계획이다.

풀무원 내부에서 이 차기 총괄CEO는 오랜 기간 풀무원에 근무하면서 누구보다도 풀무원의 가치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사업적으로는 냉철하지만 사람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마음이 늘 한결같은 경영자로 평가받아 왔다. 이 차기 총괄CEO는 풀무원이 글로벌 사업을 확대하며 조직문화 쇄신과 디지털 혁신을 가속하는 등 미래 먹거리 성장 산업을 선도해야 할 과제를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앞장서 경영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모든 조직원의 든든한 지원자로서 최고경영자 역할을 훌륭히 수행할 것으로 기대를 받고 있다. 

이우봉 풀무원 총괄CEO 프로필

▲ 약력
1962년생
강원대 회계학과, 동국대 MBA 석사

▲ 경력
1988년 풀무원식품㈜ 입사
1997년 풀무원샘물㈜ 사업지원실장
2005년 ㈜풀무원푸드머스 경영지원실장, 전략구매실장, 외식사업부장
2011년 풀무원식품㈜ 경영지원실장
2019년 ㈜풀무원푸드앤컬처 대표이사
2023년 ㈜풀무원 전략경영원장

▲ 상훈
2011년 공정거래위원장 표창
2012년 대전지방국세청장 표창
2015년 대통령 표창

양현석 기자  market@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