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들, 환전서비스 도입 위해 일반환전 업무 인가 속도
다만 토스증권, 조건 미달로 환전 서비스 도입 어려울 듯

[녹색경제신문 = 정수진 인사이트녹경 기자] 주요 증권사들이 은행권이 독점하던 환전 서비스 시장 진출을 앞다퉈 선언하는 가운데 해외주식 거래 1위로 등극한 토스증권의 경우 일반환전 서비스 시장 진출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자기자본 3조원 이상을 요구하는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이하 종투사)로 지정되지 않아, 외국환거래규정에 따른 일반환전 업무를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주요 증권사들의 환전 업무를 통해 해외주식 거래 고객의 증권사 이동이 활발해질지 주목된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위원회를 통과한 외국환거래법 개정안은 최근 일부 내용이 수정돼 다시 소위를 거쳤다.
2023년 7월 외국환거래규정 개정으로 증권사도 일반환전 업무를 할 수 있었지만, 그 범위도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이번 개정을 통해 증권사들도 창구에서 현금 환전이 가능해졌으며, 은행과의 제휴를 통한 외화 현찰 인출(위탁 방식)도 허용됐다.
업계에서는 이번 개정이 증권사들의 고객 자금 이탈을 막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증권사는 "이번 개정으로 이제 증권사 계좌에서 환전한 외화를 단순히 투자 용도로만 쓰는 게 아니라, 일반적인 생활 자금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며 "기존에는 고객이 환전을 하려면 은행을 이용했지만, 이제는 증권사에서도 생활 자금 용도로 환전할 수 있으니 고객 이탈을 막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증권사들이 앞다퉈 일반환전 업무 인가를 받고 있다. 현재 키움증권, 신한투자증권, 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이 인가를 획득했다.
반면, 해외주식 거래 점유율 1위인 토스증권의 환전 서비스 도입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토스증권은 지난해 10월 키움증권을 제치고 해외주식 거래 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아직 종투사로 지정받지 못했다. 토스증권의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자기자본은 2300억원으로, 종투사 요건(자기자본 3조원 이상)에 크게 미달한다. 토스증권 관계자는 "규정상의 이유로 일반환전 업무를 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당사는 개인투자자를 위한 리테일 전문 증권사로서,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지정 관련 계획이 없다"고 덧붙였다.
외국환거래규정 개정안에 따르면 자기자본 3조 원 이상을 갖춘 종투사만이 외국환 업무를 영위할 수 있다. 현재 종투사 자격을 갖춘 증권사로는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 메리츠증권, 하나증권, 신한투자증권, 키움증권, 대신증권이 있다.
기획재정부 외환제도과 관계자는 "모든 증권사들이 다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금융위원회로부터 종투사로 지정받고, 기획재정부의 외국환거래규정에서 요구하는 인적·물적 요건(일반환전 업무 경력 보유자 채용, 전산 시스템 구축 등)을 충족한 증권사만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토스증권은 증권사 간 치열한 고객 확보 경쟁 속에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신규 상품 출시와 서비스 고도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개인투자자의 투자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위해 옵션 등 새로운 상품을 도입하고, 해외주식 서비스와 토스증권PC(WTS) 플랫폼을 고도화하는 등 사용자 경험 개선에도 힘쓸 예정이다.
정수진 인사이트녹경 기자 insight@greene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