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다빈치, 꿈을 설계하다
상태바
로봇다빈치, 꿈을 설계하다
  • 편집부
  • 승인 2014.09.04 11: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열정樂서 : 2014 아웃리치> 광주편에서 데니스 홍 UCLA 교수가 어릴 적부터 꿈꿔 온 로봇 공학자가 되기 위한 그의 도전과, 수많은 실패를 통해 개발에 성공한 로봇들을 소개했다.

그는 이날 꿈, 열정, 도전과 창의력에 대한 메시지를 전하는 에너지 넘치는 강의로 로봇에 관심이 없는 친구들도 신나고 가슴 뛰고, 눈을 반짝 반짝하게 해줬다.

 
□ 본론: 인간형 로봇, 축구선수에서 구조대까지
1) 휴머노이드 로봇과 공유의 아름다움, 로봇 <다윈>
- 왜 인간형 로봇이 필요한가요?
인간형 로봇이어야만 실생활에서의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음. 우리의 환경은 모두 인간을 위해 설계됨. 로봇이 인간의 형태와 사이즈가 아니면 집 안에서 돌아다닐 수도 없고 인간을 위해서 개발한 도구들을 그대로 쓸 수도 없음

- 인간형 로봇을 개발하고 연구하는 이유는 인간을 더 이해하기 위한 것
인간형 로봇을 통해 인간이 어떻게 걷는지를 이해하게 되고, 이를 토대로 생성된 지식들을 의학적으로 활용 가능.

- 로봇이 인공지능을 탑재 해서 축구가 가능한 로봇 <다윈>
RoboCup이란 2050년까지 인간 월드컵 우승팀과 축구를 해서 이길 로봇 축구팀 구성이 목표. RoboCup 출전 첫 해에는 대회장 환경이 연구소와 다르자 적응을 못해 참패

- Open source로 공짜로 개방하고 세계와 공유하다!
무료 공개만이 처음 연구를 시작한 목표인 ‘교육용’과 ‘연구용’ 에 가깝기에 주변의 만류에도 진행. 다윈-OP(Open Platform) 제작에 필요한 모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온라인에 무료로 공개하고 인터넷에 커뮤니티를 형성. 공개하고 공유하니까 로봇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

2) 로봇으로 세계 축구 대회에 도전하다! RoboCup, 로봇<찰리>
- 인공지능뿐만 아니라 외부 자극에도 스스로 반응할 수 있는 성인사이즈 로봇 스스로 공 위치를 확인하고 골을 넣는 휴머노이드 로봇 찰리는 2011년부터 4년 연속 로보컵 세계 챔피언 차지

3) 인류를 구할 로봇<토르>와 로봇<사파이어>
- 로봇이라면 축구 말고 더 중요한 일에 사용되어야 하는 것 아닌가 라는 물음.
사람의 생명을 살리는 일에 활용 가능한 구조용 로봇 개발 시작.
미 해군 함정용. 함정에 불이 나면 불을 끄는 휴머노이드 로봇 <사파이어>
- 재난 구조 로봇 대회 DARPA Robotics Challenge 에 참석한 <토르-OP>
DRC 예선전 대회에서 8가지 흥미진진한 미션을 시도. 아쉽게도 9위로 예선 탈락
- "You can't always win, but you can always learn…"(항상 이길 수는 없지만, 언제나 배울 수는 있다)
예선에서 떨어진 이유를 분석하고 실패를 받아들이는 자세가 중요. 실패에서 포기하면 끝이지만 실패를 분석하고 배우면 성공으로 올라가는 계단.

- DRC결과의 반전
구글에서 예선전 1위 팀을 구입하여 결승 진출이 불가하게 되자
9위 팀인 <토르>가 결승에 진출하는 쾌거
2015년 6월 DRC결승전에서 인류를 구할 로봇 <토르>의 활약을 기대하세요!

□ 마무리
- 대회의 승패에 상관 없이 최선을 다해 개발한 로봇 기술이 미래에 단 한 사람의 생명이라고 살릴 수 있다면 충분히 가치 있는 일.
세진이의 진짜 다리를 만들 수 있을 때까지 최선을 다할 것.

- 영화 <스타워즈>를 보고 로봇 공학자의 꿈을 꾸게 되기까지
7살 때 미국 할리우드에서 영화 스타워즈를 처음 접함. 처음에 나오는 우주선, R2D2를 비롯한 로봇에 첫 눈에 반함. 인류를 위한 따뜻한 기술을 개발하는 로봇 공학자, 나는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

◇ UCLA 데니스 홍 교수
소속: UCLA 기계항공 공학과 교수
UCLA 로멜라 (RoMeLa) 로봇 매커니즘 연구소 소장
학력: 퍼듀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 박사
경력: 2013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로봇 매커니즘 연구소 소장
2009 제8회 과학을 뒤흔드는 젊은 천재 10인 선정
2009 미국자동차공학회 교육상
2007 미국 NSF 젊은 과학자상
 

편집부  jwycp@hanmail.net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