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우외환' 포스코, 조업정지 논란에 고로 정지까지
상태바
'내우외환' 포스코, 조업정지 논란에 고로 정지까지
  • 양도웅 기자
  • 승인 2019.07.02 09: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일 정전 사고로 고로 5개 일시 중단... 손실 규모 400억원 육박
전남도·경북도, 광양제철소·포항제철소에 조업정지 10일 부과
지난달 28일 총파업 돌입한 화물연대 포항지부와는 2일 오후 운송 재개 합의
1일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정전 사고가 발생해 고로가 멈추고 코크스로가 멈추는 일이 벌어졌다. 코크스로가 멈추면 내부에 있는 높은 압력의 가스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해, 광양제철소는 안전밸브를 열어 내부 가스를 밖으로 내보냈다(사진). 사진=연합뉴스
1일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정전 사고가 발생해 고로가 멈추고 코크스로가 멈추는 일이 벌어졌다. 코크스로가 멈추면 내부에 있는 높은 압력의 가스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해, 광양제철소는 안전밸브를 열어 내부 가스를 밖으로 내보냈다(사진).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세계적인 철강 전문 분석기관 WSD(World Steel Dynamics)로부터 10년 연속 '세계서 가장 경쟁력 있는 철강사'에 뽑힌 포스코가 내우외환에 시달리고 있다. 

1일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발생한 정전으로 고로에 뜨거운 바람을 넣어주는 송풍기가 멈춰 제철소 5개 고로가 모두 멈추는 사고가 발생했다. 

정전으로 철광석을 녹이기 위해 석탄을 고열로 구워내는 코크스로도 멈췄다. 

코크스로가 멈추면 고온 상태 가스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해 광양제철소는 안전밸브를 개방해 내부 가스를 방출했고, 이 과정서 불꽃과 검은 연기 등이 대량으로 발생하는 일도 벌어졌다. 

2일 현재 멈춘 5개 고로 가운데 1기는 안정성이 확보돼 정상 가동 중이지만, 고로 중단에 따른 생산 차질로 손실 규모는 400억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포스코 관계자는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가동을 멈춘 나머지 고로 4개도 안정성을 확보해 2일 저녁까지 재가동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정전 사고에 따른 고로 중단 등에 따른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안에서 뿐 아니라 포스코는 현재 바깥과도 소란스럽다. 

지난달 전라남도가 포스코 광양제철소에 대기오염물질을 무단으로 배출 건으로 조업정지 10일을 사전통보키도 했다. 

최근 전라남도가 행한 조업정지 관련 청문회 결과 조업정지 10일 대신 과징금을 부과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지만, 과징금 처분이라도 수용하게 되면 불법으로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했다는 걸 인정하게 되는 꼴이라 포스코는 난감한 처지다. 

이같은 대기오염물질 무단 배출 건은 포스코 포항제철소도 해당되는 사안이다. 포항제철소도 경상북도로부터 조업정지 10일 처분을 받았고 현재 청문회 일정을 조율 중이다. 

바깥에서 발생한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2일 오후 해결됐지만, 민주노총 화물연대 포항지부는 지난달 28일부터 ▲운송료 최저입찰제 폐지 ▲운송료 7% 인상 등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한 바 있다. 

과거에도 운임을 두고 부분파업을 벌인 적이 있지만, 화물연대 포항지부가 총파업에 들어간 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총파업에 돌입하며 화물연대는 지난달 30일부터 포항제철소 운송량을 기존의 10%로 줄였다. 

포항제철소가 일평균 25톤 규모의 화물차 600대를 운송하는 만큼, 매일 1만3500톤의 철강제품이 운송에 차질을 빚기도 했다. 

하지만 이날 오후 포스코 운송업체와 화물연대 포항지부가 운송료 4.3% 인상에 합의하면서 포항제철소 철강제품 출하 또한 재개돼 포스코는 한시름 놓게 됐다. 

양도웅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