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경제보복] "백색국가 제외, 반도체·디스플레이 영향 미미"...삼성전자·SK하이닉스 자율준수규정 활용 '피해 최소화'
상태바
[일본의 경제보복] "백색국가 제외, 반도체·디스플레이 영향 미미"...삼성전자·SK하이닉스 자율준수규정 활용 '피해 최소화'
  • 박근우 기자
  • 승인 2019.08.05 11: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차증권 "그동안 아시아에서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된 국가는 현재까지 한국밖에 없었다"
..."반도체와 전자제품 많이 생산하는 중국, 대만, 싱가폴도 화이트리스트 국가 아니었다"

일본의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 제외 결정에도 한국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차증권은 5일 일본의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 제외 결정과 관련해 "자율준수규정(ICP·Internal Compliance Program) 제도를 활용할 경우 국내 IT하드웨어 업체들이 단기적으로 생산차질이 생길 가능성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IT 기업이 ICP를 활용해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에 대응하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얘기다.

노근창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그동안 아시아에서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된 국가는 현재까지 한국밖에 없었다"며 "반도체와 전자제품을 많이 생산하는 중국, 대만, 싱가폴도 화이트리스트 국가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일본 기업들의 해외 생산공장이 많은 국가도 화이트리스트가 아니었다"며 "이들 국가 중 어떤 국가도 일본 제품 수입의 어려움으로 인해 생산차질을 겪었다는 뉴스가 노출된 적은 없다"고 덧붙였다.

이들 국가가 생산 차질을 겪지 않은 이유로 특별일반포괄허가제도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특별일반포괄허가란 일본의 전략물자 1120개 중 비민감품목 857개에 대해서는 수출기업이 일본 정부의 자율준수프로그램(ICP) 인증을 받아 수출관리가 잘되고 있다고 여겨질 경우 개별허가를 면제하고 3년 단위의 포괄허가를 내주는 제도다.

이미 글로벌 협력사 시장에 포함된 대부분의 일본 기업들이 CP 기업 리스트에 포함돼 있어 이들과 거래하는 국내 대기업들의 생산 차질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노 연구원은 "현재 일본 경제산업성에 공개된 CP 기업수는 632개지만 다양한 이유로 공개 안된 기업 수는 1300여개로 추정된다"며 "실리콘웨이퍼 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신에츠화학과 섬코 등은 공개되지 않은 CP 기업들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박근우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