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계의 전기차 도입 열풍... "충전 인프라는 해결과제"
상태바
유통업계의 전기차 도입 열풍... "충전 인프라는 해결과제"
  • 이용준 기자
  • 승인 2022.03.30 15: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마트 업무용차량 전면 '전기차'로 교체 계획
전기차 충전소·전용 수리센터 등 인프라 필요

국내 주요 유통업계가 전기차 배송차량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친환경 가치소비를 중시하는 소비자를 저격한 ESG경영 전략이다. 다만 물류용 전기차가 활성화되려면 추가적인 충전 인프라가 구축돼야 한다는 분석이다.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유통업계, 전기차 도입 속도 낸다

이마트는 이마트 오프라인 매장과 트레이더스, 물류센터 업무용 차량 160대를 모두 전기차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지난 29일 밝혔다. 이마트는 지난해 11월부터 성수점 업무용 차량을 시범 운영하고, 오는 8월까지 모든 차량을 전기차로 교체한다는 계획이다.

이마트는 물품구매부터 점포 운영에 필요한 모든 업무를 수행하는 업무용 차량을 전면 전기차로 교체하면 연간 1100t(톤) 탄소배출량을 절감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외에도 이마트는 환경부에서 주관하는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 사업(K-EV100)에도 참여하면서 이목을 끌고 있다. K-EV100은 기업이 보유한 업무용 차량을 무공해차로 전환하는 프로젝트로 현재 200여개 이상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롯데슈퍼는 현재 전국 오프라인 점포에서 약 70여대 전기 배송차량을 운영하고 있다. 롯데슈퍼가 운영하는 배송차량은 현재 400여대 정도로 알려져 있다. 롯데슈퍼는 올해 말까지 전기차 운영을 100대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인데 전면 교체할 경우 약 100만ℓ 휘발유 사용을 감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롯데슈퍼가 도입한 초소형 전기차는 배송 효율성과 안전성도 높다는 분석이다. 통상 롯데슈퍼 온라인 배송은 대형마트에 비해 이동거리가 짧고 좁은 골목길이 많다. 초소형 전기차는 도심 곳곳에 이동할 수 있어 일반 차량에 비해 30% 배송속도가 향상될 것이란 분석이다. 이밖에도 도심 내 주정차난에서 자유롭고 60~70km 제한속도가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처럼 유통업계가 전기차 도입에 속도를 내는 이유는 가치소비를 중시하는 트렌드와 더불어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기조를 맞추기 위해서다. 정부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 목표를 세운 만큼 유통기업도 구체적인 친환경 물류 인프라 구축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충전소 인프라 구축은 해결 과제

대기업 유통업계를 중심으로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고 있지만 충전소 인프라가 부족해 속도가 더디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이를 위해 이마트는 전기차 도입과 더불어 현재 전국 118개 점포에서 운영중인 전기차 충전기를 현재 460여기에서 계속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인프라 부족 문제로 유통업계는 일부 지역에 시범운영 수준으로 전기차를 도입하고 있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30일 “현재 물류용 전기차 수요에 비해 충전소가 턱 없이 부족해 전기차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또한 도심에서 물류용 전기차를 운영하려면 곳곳에 전용 수리센터가 필요해 인프라 구축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녹색경제신문>에 전했다.

이용준 기자  market@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