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에 사람, 풀벌레, 철새가 함께 살게 만든다
상태바
새만금에 사람, 풀벌레, 철새가 함께 살게 만든다
  • 정우택
  • 승인 2011.11.23 09: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부, 한국 네덜란드 독일 일본의 전문가 새만금 생태복원 방안 논의

 환경부는 새만금 지역의 우수한 생태환경 조성을 위해 국무총리실과 함께 24일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새만금 생태환경용지 조성 방안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 네덜란드, 일본, 독일의 생태복원 정책·기술 전문가가 한 자리에 모여 각 국의 생태복원 사례를 공유하고 새만금 지역의 생태환경용지 조성 방향을 함께 모색하기 위해 마련 것이다.

 정부가 확정·발표한 “새만금 종합개발계획(‘11.3)”에 의해 환경부는 새만금 사업에서 ‘생태환경용지’ 조성과 ‘새만금호 수질 관리’라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으며 지난 7월에는 새만금 지역의 환경대책 주관부처를 농림수산식품부에서 환경부로 변경하기 위해 ‘새만금사업 촉진을 위한 특별법’ 이 개정되었다(‘12.1.15 시행).

 새만금사업은 새만금 지역(401㎢, 서울 면적의 1.5배)을 동북아 경제중심지로 개발하기 위해 국토부, 지경부 등 7개 부처가 참여하여 도시, 산업, 농업, 생태환경 등의 8대 용도로 향후 20년간 개발하는 초대형 국책사업 (개발면적 283㎢, 새만금호 118㎢)이다.

 ‘생태환경용지(50㎢, 새만금 개발 면적의 5분의 1, 여의도 면적의 7배)’ 조성사업은 모든 것이 인공적인 새만금 지역을 식물이 싹을 틔우고, 개구리가 알을 낳고, 철새가 쉬어갈 수 있는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것이 그 목적이다.

 하지만 새만금 지역의 특수한 여건(담수·기수 공존, 지난 20년간 방조제 축조, 향후 20년간 내부 개발 등)과 생태환경용지의 방대한 규모 등으로 벤치마킹할 국내외 사례가 거의 없어,   현재 환경부가 마련 중인 개발기본계획의 철학적, 과학적, 기술적 검토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생태환경용지 조성에 대한 개발기본계획 수립(’12.상반기 예정)을 앞두고 국내ㆍ외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어 생태환경용지의 조성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금번 심포지엄을 마련했다.

 환경부 물환경정책국장의 “새만금 생태환경용지 조성사업 추진현황”에 대한 기조발표에 이어 제1세션(정책 분야)에서 국내ㆍ외 간척지 생태복원 정책”을 주제로 우리나라, 네덜란드 및 일본의 환경정책 전문가들의 발표 및 토론이 진행된다.

 제2세션(학술 분야)에서는 “간척지 생태계 건강성 증진방안”을 주제로 우리나라, 독일, 네덜란드, 일본의 학술 전문가들의 발표 및 토론이 진행된다.

 환경부는 본 심포지엄이 각 국의 간척지 생태복원 정책 및 연구경험을 공유하는 자리로서 새만금 생태환경용지와 관련한 환경정책 수립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전망했다.

정우택 기자

 

 

정우택  cwtgreen@naver.com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