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모트롤BG와 전자BG, 첫 해외 생산기지 중국공장 준공
상태바
두산 모트롤BG와 전자BG, 첫 해외 생산기지 중국공장 준공
  • 조원영
  • 승인 2012.07.04 16: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용만 회장 “중국시장 발판 삼아 세계적 업체로 키울 것”

㈜두산은 중국 장쑤성에 모트롤BG와 전자BG의 첫 해외 생산기지인 모트롤BG 장인공장, 전자BG 창수공장을 각각 세우고 3~4일 차례로 준공식을 열었다고 4일 밝혔다.

3일 준공식을 가진 모트롤BG 장인공장은 주행장치 등 굴삭기용 유압기기를 생산하며, 4일 준공식을 연 전자BG 창수공장은 전자제품 핵심부품인 동박적층판(CCL: Copper Clad Laminate)을 생산한다.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은 두 공장 준공식에 연이어 참석해, “(모트롤과 전자 BG의) 첫 해외생산 기지를 중국에 세웠다는 것은 그 만큼 중국을 중요한 시장으로 여긴다는 것이며, 글로벌 업체로 키우는 데 중국을 핵심 발판으로 삼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박 회장은 또 “서비스와 품질 향상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할 것이며, 두산 고유의 철학을 바탕으로 지역 맞춤형 사회활동 등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두산 모트롤BG 중국 장인공장 준공식에서 기념 식수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총기 상하이 총영사,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 짱웨이궈 강소성 부성장, 제임스 비모스키 (주)두산 부회장.
모트롤BG 장인공장은 굴삭기의 핵심 유압기기인 주행장치를 월 7천대 규모로 양산하는 체제를 갖췄다. 모트롤BG 장인공장은 생산품을 중국 내 주요 굴삭기 제조업체에 공급할 계획인데, 중국 장에서는 그 동안 굴삭기 유압기기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 계속돼 왔다.

모트롤BG의 유압기기 중국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12.6%였고, 장인공장 가동을 통해 2016년까지 점유율을 25%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두산은 중국을 원가절감을 위한 생산기지가 아닌, 세계시장 석권을 위한 전초기지, 제2의 내수시장으로 삼고 시장공략을 가속화해 나간다는 방침임. 이를 위해 생산기지를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가는 한편, 고부가가치 제품 투자와 설비투자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현지 채용 인력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연수원 설립을 추진하는 등 장기적 안목에서 중국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두산은 이번에 준공한 ㈜두산의 장인, 창수 공장을 비롯해 두산인프라코어 굴삭기, 휠로더,
공작기계 공장 등 생산시설과 판매망 확충에 지난 5년간 2500여억원을 투자했으며, 지난해
중국시장에서만 4조14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조원영  jwycp@hanmail.net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