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입장 "국익 저해한 쪽은 SK이노베이션"... SK이노 '손해배상 청구 소송 제기'에 반박
상태바
LG화학 입장 "국익 저해한 쪽은 SK이노베이션"... SK이노 '손해배상 청구 소송 제기'에 반박
  • 양도웅 기자
  • 승인 2019.06.10 14: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LG화학, "이미 ITC에서 조사 개시한 사안... SK이노 안이하게 상황 판단하는 건 아닌지 우려"
LG화학이 SK이노베이션이 10일 오전 발표한 'LG화학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 등에 대해 "어불성설"이라며 입장문을 10일 오후 발표했다.

LG화학이 오늘(10일) 오전 SK이노베이션이 발표한 LG화학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 제기에 대한 입장문을 오늘 오후 내놨다. 한 마디로 어불성설이라는 것.

LG화학은 10일 오후 'SK이노베이션 맞소송 관련 LG화학 입장'이라는 제목의 입장문에서 "경쟁사(SK이노베이션)에서 맞소송을 제기한 것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거듭 강조했듯이 LG화학이 제기한 소송의 본질은 30여년간 쌓아온 자사의 핵심 기술 등 마땅히 지켜야 할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데 있다"고 밝혔다. 

이어 "LG화학은 두 차례나 SK이노베이션 측에 내용증명을 보내 자사의 핵심 인력에 대한 채용 절차를 중단해 달라고 요청했다"며 "(하지만) SK이노베이션은 도를 넘은 인력 빼가기(76명)를 지속했고 이 과정에서 자사의 핵심기술이 다량을 유출돼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판단, 법적 대응을 결정하게 됐다"고 '영업비밀 침해' 건으로 소송을 제기한 이유를 재차 설명했다. 

또, SK이노베이션 강조하는 LG화학의 '산업 생태계 및 국익 훼손' '근거 없는 발목잡기'에 대해선 "오히려 산업 생태계 발전을 저해하고 국익에 반하는 비상적이고 부당한 행위를 저지른 경쟁사에서 이러한 주장을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특히, "이미 ITC(미국 국제무역위원회)에서 SK이노베이션의 영업비밀 침해에 대해 본안 심리의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조사 개시'를 결정한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경쟁사에서 지속적으로 '근거 없는 발목잡기'라고 표현하는 것은 상황을 너무 안이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극히 염려되고 의문시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후발업체가 손쉽게 경쟁사의 핵심 기술 및 영업비밀을 활용하는 것이 용인된다면 그 어떤 기업도 미래를 위한 투자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며 "해외 기업도 이를 악용할 것이라 우려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LG화학은 경쟁사의 주장에 대해 소모적 논쟁과 감정적 대립으로 맞서기보다는 모든 것을 법적 절차를 통해 명확히 밝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아래는 LG화학 입장문 전문. 

[SK이노베이션 맞소송 관련 LG화학 입장]

LG화학은 자사의 정당한 권리 보호를 위한 법적 조치를 두고 경쟁사에서 맞소송을 제기한 것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거듭 강조해 왔듯이 LG화학이 제기한 소송의 본질은 30여년 동안 쌓아온 자사의 핵심기술 등 마땅히 지켜야 할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데 있습니다.

LG화학은 두 차례나 SK이노베이션측에 내용증명을 보내 자사의 핵심 인력에 대한 채용절차를 중단해 달라고 요청하였으나 SK이노베이션은 도를 넘은 인력 빼가기(76명)를 지속하였고 이 과정에서 자사의 핵심기술이 다량으로 유출되어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상황에이르렀다고 판단, 법적 대응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경쟁사가 주장하는 ‘산업생태계 및 국익훼손’, ‘근거없는 발목잡기’ 와 관련해 LG화학은 오히려 ‘산업 생태계 발전을 저해하고 국익에반하는 비상식적이고 부당한 행위’를 저지른 경쟁사에서 이러한 주장을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 생각합니다.

특히, 이미 ITC에서 SK이노베이션의 영업비밀 침해에 대해 본안 심리의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조사개시’를 결정한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경쟁사에서 지속적으로 ‘근거없는 발목잡기’라고 표현하는 것은 상황을 너무 안이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극히 염려되고의문시 됩니다.

또한, LG화학은 세계시장에서 정당하게 경쟁하고 오랜 연구와 막대한 투자로 확보한 핵심기술과 지식재산권을 보호하는 것이야말로진정으로 산업생태계 발전에 기여하고 국익을 위하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후발업체가 손쉽게 경쟁사의 핵심기술 및 영업비밀을 활용하는 것이 용인된다면 그 어떠한 기업도 미래를 위한 투자에 나서지 않을 것이며 해외 기업도 이를 악용할 것이라 우려됩니다.

또한, 반도체를 능가하는 차세대 산업으로 성장 중인 자동차전지 분야의 산업경쟁력이 무너지고 국익을 저해하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LG화학은 경쟁사의 주장에 대하여 소모적 논쟁과 감정적 대립으로 맞서기보다는 모든 것을 법적 절차를 통해서 명확히 밝히도록 하겠습니다.

양도웅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