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재벌청문회 이슈점검 ①포스코] 권오준 회장 선임과 엘시티 참여에 靑 외압있었나
상태바
[2차재벌청문회 이슈점검 ①포스코] 권오준 회장 선임과 엘시티 참여에 靑 외압있었나
  • 조아라 기자
  • 승인 2016.12.15 18: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6일 9개 재벌 총수들이 증인으로 출석한 '재벌총수 청문회'에 이어 22일 5차 청문회에 재계가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사실상 2차 재벌청문회이기 때문이다. 증인 면면을 보면 내노라하는 재벌 총수들이 증인으로 참석한 것이 1차때 모습이었다먼 2차때는 1차때부터 줄곧 이슈가되고 있는 삼성을 제외하면 포스코와 KT가 이슈가될 전망이다. 어떤 이슈가 쟁점이 될 전망인지 3회에 걸쳐 미리 짚어본다.<편집자 주>

22일 5차 청문회에 재계가 초미의 관심을 보이고 있다.역대정권에서 매번 권력 비리에 휘말렸던 포스코와 KT측 증인 출석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 오는 22일 5차 국정조사가 ‘2차 재계 청문회’ 조짐을 보이고 있다.

KT와 마찬가지로 포스코도 다양한 방식을 통해 '최순실 게이트'와 복잡하게 얽혀있어 검찰기소 사항에서 미진한 부분이라든가, 검찰이 제기하지 못했던 의혹을 중심으로 청문회 위원들의 질문이 집정될 전망이다.

◇권오주 포스코회장 선임과정에서 靑 외압 가능성은?

포스코에 대해 특위는 권오준 포스코 회장 선임 과정에 청와대가 외압을 행사했는지에 대해 집중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2014년초 포스코 8대회장을 선임하는 후보자 선정 최종면접에서 마지막 후보로 오른 권 회장과 경쟁자에게 전례없는 영어 질의 응답을 요구, 상대적으로 권 회장에게 유리한 상황이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엔지니어출신으로 당시 기술총괄 사장을 맡고 있었던 권 회장이 최종 후보자로 선정되자 포스코 안팎에서는 의외라는 반응과 함께 '보이지 않는 손'의 개입의혹이 불거졌었다.

또 김기춘 전비서실장이 직접 포스코 임원을 만나 권 회장 선임 문제를 논의했다는 사실은 최씨가 ‘그림자’로서 개입했다는 의심을 더욱 키우고 있다.

권 회장 선임 외압과 관련해 검찰 수사를 받지 않았던 김응규 전 포스코 경영승계 대표이사와 정민우 전 포스코 대외협력실 팀장의 출석이 초미의 관심사다.

당시 포스코 CEO 승계 프로그램을 담당했던 김 전 사장은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에게 권 회장을 선임하도록 압력을 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정 전 팀장은 지난 2월 청와대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이며 권 회장을 비롯한 포스코 현 경영진의 역량을 비판한 인물로 이번 청문회에서 이른바 ‘내부고발자’의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이외에도 김 전 실장으로부터 “권오준을 회장으로 세우라”는 지시를 받은 것으로 알려진 조원동 전 청와대 경제수석, 최명주 전 포스코기술투자 사장, 이영선 전 포스코 이사회 의장, 오영호 전 코트라 사장 등도 증인으로 요청됐다.

현재 조 전 수석은 CJ그룹 이미경 부회장 퇴진 강요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상태다. 박근혜 대통령도 공범으로 적시됐다. 이번 국조에서 조 전 수석을 비롯해 김 전 실장이 권 회장 선임에 외압을 행사했다는 증언이 나오면 특검이 박 대통령과 김 전 실장에 대한 강요죄 혐의를 밝히는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증인 중 한명이라도 김 전 비서실장으로부터 권 회장 선임에 압력을 행사받았다고 증언한다면 직권남용죄나 강요죄 성립이 가능하다”며 “특검에서 이 자료를 바로 증거로 쓸 수 있다. 국조에 출석한 증인의 증언이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엘시티 시공사 선정과 광고회사 강탈..최순실의 그림자 의혹

최순실씨와 이영복 엘시티 회장은 같은 강남 청담계 계원으로 엮여있다. 이영복 엘시티 회장은 현재 횡령과 사기 혐의로 검찰에 의해 기소된 데 그쳤다. 검찰이 엘시티 사업 비리 전모를 밝히는 데 실패한 셈이다.

포스코 건설이 엘시티 사업의 시공사로 책임준공이라는 부담을 안고 참여한 배경에 박 대통령과 최순실씨 그리고 권 회장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세간의 의혹은 끊이지 않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도 최근 국조특위에서 김 전 비서실장이 포스코건설이 엘시티 시공사로 참여하도록 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포스코 계열 광고사 포레카 강탈 사건도 마찬가지다. 검찰은 최순실씨의 측근인 차은택씨와 송성각 전 한국콘텐츠진흥원 원장을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횡령 등 혐의로 구속기소했지만 배후는 밝히지 못했다.

특위는 권 회장에게 엘시티와 포레카 사건 전반에 걸쳐 청와대의 외압, 또는 지시가 없었는 지 그리고 권 회장은 이 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 하지 않았는지 조사할 방침이다.

특위 관계자는 “그동안 언론과 검찰에서 충분히 다뤘지만 제대로 의혹이 해소되지 않은 부분들을 다룰 예정이다. 무엇보다 증인 채택에 대한 합의가 선행되야한다”고 말했다.

조아라 기자  archo@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