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류병훈 부사장 “HBM 시장은 청신호지만, 신중한 투자 필요”
상태바
SK하이닉스 류병훈 부사장 “HBM 시장은 청신호지만, 신중한 투자 필요”
  • 조아라 기자
  • 승인 2024.06.04 15: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SK하이닉스]
[사진=SK하이닉스]

[녹색경제신문 = 조아라 기자]

SK하이닉스 류병훈 미래전략(Corporate Strategy & Planning) 담당 부사장이 HBM 시장의 밝은 성장세가 예상되는 한편 그룹차원의 신중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4일 류 부사장은 SK하이닉스 뉴스룸 인터뷰에서 이같은 발언과 함께 수익성 극대화를 목표로 미래 대응 전략을 밝혔다.

류 부사장이 담당하는 미래전략 부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회사의 성장 방향을 고민하고 지원하는 조직이다. 시황, 트렌드, 경쟁 환경 등을 파악하고 회사의 성장 전략에 반영하여 수익성을 높이는 것이 조직의 주 역할이다.

이에 미래전략은 다양한 부서와 협업해 정보를 폭넓게 수집하고 시장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해 나가고 있다는 것이 하이닉스 측의 설명이다.

올해 류 부사장은 생산·판매를 최적화하고, 제조와 R&D의 원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조직을 재편했다. 특히, 그는 전사 ESG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조직을 미래전략 산하에 새롭게 편입하고, 기존 조직을 경영전략과 경영기획으로 이원화했다.

류 부사장은 “규모가 커져도 우리가 추구하는 것은 단순합니다. 리스크가 작고 투입(Input) 대비 효과(Output)가 큰 선택지를 발굴하는 것”이라며 “어떤 업무든 이를 염두에 두고, 시장을 살펴 최선의 전략을 도출해야 한다”라고 언급했다.

미래전략에서 직접 개발한 ‘시황 분석 툴(Tool)’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이는 전후방 산업 데이터로 회귀 분석해 메모리 시황을 내다보는 모델이다. 전후방 산업은 제품 생산 흐름에서 산업 앞뒤에 위치한 산업으로 반도체의 전방 산업은 PC, 스마트폰 등 최종 소비자가 접하는 업종, 후방 산업은 제품 소재 등을 제작하는 업종에 해당한다.

미래전략의 분석에 따르면 올해 HBM 시장도 청신호다. PC용, 모바일용, 서버용 메모리에 이어 전도유망한 제품군으로 확실히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류 부사장은 “AI 서비스가 고도화될수록 메모리 월(Memory Wall)이 한계로 지적”된다면서 “이를 극복할 제품으로 HBM이 떠오르고 있기 때문에 HBM 수요는 더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전망했다.

(*메모리 월(Memory Wall): 다음에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메모리에서 도달하지 못해 프로세서가 대기하는 상황. 이에 따라 컴퓨팅 성능이 메모리에 의해 결정되는 현상

그러면서 류 부사장은 전방산업의 변동성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수의 AI 기업이 모험자본의 손을 빌리고 있고 단기적으로는 성장이 확실하지만, 전방 산업이 탄탄히 자리 잡기 전까진 변동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라고 했다.

이어, “또, AI 데이터센터의 구축 속도까지 감안해 신중하게 투자를 늘리고 ”이 모든 시그널을 유심히 살피며 수요를 전망하고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전략을 세워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아라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