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경영 강화하고 방산·조선 등 핵심 사업 투자 집중
2218억원 증여세 투명 납부한다는 방침
[녹색경제신문 = 정창현 기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보유한 ㈜한화 지분 22.65% 중 절반인 11.32%를 세 아들에게 증여한다.
㈜한화는 31일 공시를 통해 김 회장이 보유한 ㈜한화 지분을 김동관 부회장(4.86%), 김동원 사장(3.23%), 김동선 부사장(3.23%)에게 증여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세 아들의 ㈜한화 지분율은 42.67%로 높아지며, 그룹 경영권 승계가 사실상 완료됐다.
이번 지분 증여로 한화그룹의 지주사 역할을 하는 ㈜한화의 지분 구조는 한화에너지(22.16%), 김승연 회장(11.33%), 김동관 부회장(9.77%), 김동원 사장(5.37%), 김동선 부사장(5.37%) 등으로 변경된다.
세 아들은 이미 한화에너지의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어 ㈜한화에 대한 지배력이 공고해졌다. 김 회장은 증여 이후에도 그룹 회장직을 유지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경영 자문 역할을 지속할 계획이다.
김 회장은 이번 결정을 통해 경영권 승계와 관련한 불필요한 논란을 신속히 정리하고, 그룹의 핵심 사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것이라고 한화그룹은 밝혔다.

한화그룹은 최근 방산, 조선, 우주항공 등 차세대 핵심 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이 가운데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 및 한화오션 지분 인수와 관련해 일부에서 승계와 연관이 있다는 시각이 있었다. 이번 지분 증여는 그러한 논란을 해소하기 위한 차원인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는 유럽 방산 시장의 블록화와 글로벌 방산업체 간 경쟁 심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승계와 무관한 조치라고 회사 측은 강조했다.
김동관 부회장 등 세 아들은 이번 증여로 인해 총 2218억원 규모의 증여세를 납부해야 한다. 과세 기준 가격은 4월 30일 전후 두 달간의 평균 주가로 결정되며, 한화그룹은 정도경영 원칙에 따라 이를 성실히 납부한다는 계획이다.
한화그룹은 “주가가 낮은 시점에 증여를 결정했다거나, 의도적으로 주식 가격을 조정했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며 “투명한 절차를 거쳐 증여세를 성실히 납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화그룹은 이번 지분 증여를 계기로 승계 관련 논란을 해소하고, 방산, 조선해양, 우주항공 등 국가 차원의 전략적 사업에 더욱 집중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기업가치를 제고하고, 국가 경제 발전에도 기여하겠다는 계획이다.
정창현 기자 lycaon@greene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