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 중국에서 꺼리는 식재료 국내 유입 가능성 높여
식약처, 수입 전 과정에서 모니터링...다만 정밀검사 비중 13%대로 그쳐
[녹색경제신문 = 서영광 기자] 최근 중국에서 가짜 식재료와 독성 물질이 포함된 식품들이 논란이 일면서, 식품 안전 문제가 화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마라탕, 훠궈 등 중국식 요리는 최근 국내에서도 인기다. 이에 중국산 식재료가 국내로 유입되는 경로도 늘고 있다.
그렇다면 국내 소비자들은 중국산 수입 식재료들을 믿고 먹어도 되는 것일까?
지난 31일 <녹색경제신문>은 최근 중국산 식재료에 대한 안전성 우려와 관련해 식약처(식품의약품안전처)의 단속 현황과 수입 식품에 대한 검역 강화 조치, 그리고 일부 문제 제품들의 유통 경로에 대해 취재했다.
![중국 거리 노점상. [사진=픽사베이]](/news/photo/202504/325018_369452_1514.jpg)
국내에서 만든 ‘마라탕’ 재료도 대부분이 중국산...정작 중국에선 ‘불매’ 분위기 고조
최근 중국은 식품 안전 문제로 시끌벅적하다. 가짜 두부, 달걀, 미역 등 위조 식품부터 부패한 식재료로 만든 가공식품 등이 연이어 적발되면서, 중국인들 사이에선 자국에서 만든 식재료를 불매하겠단 기조도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중국에 대한 이슈와 정세를 주로 다루는 국내 인플루언서 ‘대륙남TV’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중국 내 먹거리 실태와 관련한 여러 영상을 공개했다. 그의 영상 속에선 중국 식재료 및 가공식품에 대한 문제점들이 시사됐다.
특히 그는 한 영상에서 중국산 두부를 두고, “이게 중국산 두부인데 훠궈에 들어가는 재료”라며 “중국 사람들은 이 제품을 불매하고 있는데, 한국에 이 재료들이 들어온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한편 실제로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마라탕’과 ‘훠궈’ 등에는 중국산 식재료들의 사용 비중이 높다. 또한 중국은 모든 수입국 중 우리나라에 가장 많은 식재료(건수 및 중량 기준)를 수출하고 있는 국가다.
식약처가 공개한 ‘2024 수입식품 등 검사연보’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 총 165개 국가로부터 국내에 식품 관련 수입품들이 들어왔다. 이 중 건수 기준으로 중국이 차지한 비중은 31.4%로 1위를 차지했으며, 2위 미국의 비중은 10.9%였다. 중량으로 따져봐도 중국은 18.0%로 비중이 가장 컸고, 2위 미국은 15.8%였다.
또한 중국은 지난 5년간 줄곧 수입국 1위를 차지해 왔는데, 수입 항목별로 보면 지난 2023년 기준 ▲ 기구 또는 용기·포장 10만2431건 ▲ 가공식품 8만1138건 ▲ 수산물 2만5642건 ▲ 농임산물 2만5518건 ▲ 식품첨가물 1만1532건 ▲ 축산물 1857건 ▲ 건강기능식품 644건 순이었다.
해외 제조업소 허가·단속 어떻게 이뤄지나?...식약처, “관련 법령 기준에 따라 실사”
식약처는 수익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입신고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수입식품 등을 신고하기 위해선 먼저 수입자 또는 대행자가 관세청의 전자통관시스템에 수입신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식약처에 따르면 수입신고서 제출은 요건신청을 통해 수입하고자 하는 식품 등의 정보를 전자문서로 작성해 제출하는 것이다. 제출한 정보는 통관장소를 관할하는 지방식품의약품 안전청에 접수되며, 이후 국내 식품 등의 기준 및 규격에 적합한지가 검사된다.
식약처는 수입신고 적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수입 전 단계에서 해외 제조업소를 대상으로 ‘현장검사’, ‘정밀검사’, ‘무작위표본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국내에 처음 들어오는 수입품의 경우 기본적으로 정밀검사가 실시된다.
만약 수입신고서의 정보사항이나 정밀검사에서 위해 정보가 있다고 판단되면, 식약처는 검사를 강화한다. 또한 식약처는 이미 수입되고 있는 수입품일지라도 필요할 경우 다시 추가적인 검사에 나선다는 설명이다.
다만 모든 수입품의 안전성 여부를 판단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수입신고서를 제출한 모든 현지 제조업소를 전수조사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녹색경제신문>에 “해외 제조업소는 일단 등록이 이뤄지고, 이 중에서 수입량이나 부적합 실적, 혹은 기타 위해정보 등을 고려해 관련 법령에 따라 현지 실사를 진행할지 여부가 결정된다”고 설명했다.
![중국 내에서 식품 안전성 논란이 높아지고있다. [사진=픽사베이]](/news/photo/202504/325018_369453_1625.jpg)
‘필터링’ 사각지대에 결국 위해성 여부는 ‘복불복’...소비자들, ‘자체 불매’ 기조 높이나?
한편 중국산 식재료의 수입 건수가 가장 많은 만큼, 부적합 판정을 받은 건수도 중국이 1위를 차지했다. 지난 2023년 기준 부적합 판정을 받은 중국산 수입 제품은 총 529건으로, 전체 부적합 건수의 39% 가까이 차지했다.
식약처는 지난 2023년 수입신고된 총 79만2374건 중 총 14만5480건의 수입품을 대상으로 정밀(부작위 포함)검사를 실시했다. 검사 항목은 무려 687만8075개에 달했으며, 이 중 1653개 검사항목에서 부적합 처리가 이뤄졌다.
하지만 식약처의 이러한 관리에도 불구하고, ‘필터링’에는 여전히 사각지대가 존재할 수밖에 없어 보인다. 일단 처음 등록되는 수입품의 경우 기본적으로 정밀검사가 이뤄지지만, 이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일부 제조사에 국한돼 이뤄지기 때문이다.
만약 제조사가 수입신고를 완료한 이후엔 안전성 기준을 위법하더라도, 문제가 두드러지지 않는 이상 위법 사항을 사전에 알기는 사실상 어렵다.
실제로 식약처에 접수된 지난 2023년 전체 수입품(79만2374건) 중 정밀검사된 건수는 10만5017건으로 13.3%에 그쳤다. 또한 무작위표본검사는 매해 10% 미만으로, 지난 2023년엔 5.1%만이 이뤄졌다.
이에 일부 국내 소비자들은 자체적인 ‘불매’에 나서야겠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특히 가공식품의 경우 눈으로 봤을 때 사용된 원료의 품질이나, 상태를 알아볼 수 없으므로 더욱이 소비자 스스로가 신중한 소비를 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이에 식품업계 관계자는 31일 <녹색경제신문>에 “가공식품이라는 것은 원래 그 원형을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변형돼 혼합·제조·가공되기 때문에 눈으로 봤을 때 원재료의 상태를 확인할 수가 없다”며 “출처가 불분명한 가공식품은 보다 신중하게 구매하고 섭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영광 기자 market@greene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