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원전 폐연료봉 1535만개 처리 시급"
상태바
"국내 원전 폐연료봉 1535만개 처리 시급"
  • 녹색경제
  • 승인 2011.03.27 14: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원자력발전소에 처리되지 않은 폐연료봉 총 1535만여 개를 보관 중인 것으로 알려져 처리방안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민주당 김영환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위원장(경기 안산상록을·3선)은 27일 한국수력원자력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내 원자력 발전소에 폐연료봉(사용후 핵연료)이 총 1535만5326개 저장돼 있다고 밝혔다.

이 중 57.7%인 886만4046개가 원전 수조에 임시 저장돼 있으며, 6년 가량의 냉각 과정을 거친 나머지 649만1280개는 건식저장고(월성본부 부지내 별도)에 저장 돼 있다.

 
현재 국내 원전의 폐연료봉 저장 현황을 보면, 저장 가능한 총 용량 51만7026 다발 중 66.4%인 34만3513 다발이 저장돼있다.

이중 고리 2호기(96.6%), 영광 2호기(92.9%), 울진 1호기(95.7%), 울진 2호기(94.5%), 월성 1호기(91,5%), 월성 2호기(89.4%), 월성 3호기(93.5%), 월성 4호기(91.9%) 등은 이미 포화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폐연료봉에는 우라늄 95~96%가 남아 있고, 그외 플루토늄(약 1%), 재처리 불가능한 고준위폐기물인 핵분열생성물(약 4%)로 구성돼 있다.

후쿠시마에선 원전 내 폐연료봉의 폭발 가능성이 우려되기도 했다. 국내 원전 내 폐연료봉의 잠재적인 위험에 철저히 대비 해야하는 상황이다.

냉각시스템 마비로 인한 고열 발생, 대규모 지진 등 외부 충격으로 인한 균열 발생 때 폐연료봉에서 방사선이 대량 누출될 위험이 크고 대규모 인명 피해가 예상되는만큼, 폐연료봉의 처리 방안 마련이 절실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재처리를 불허하는 한·미 원자력협정이 2014년 3월 만료될 예정이다. 정부는 폐연료봉을 재처리할지, 직접 처분할지, 영구 저장할지 등 구체적인 처리방안을 시급하게 마련해야 하는 실정으로로 알려졌다.

ultra@newsis.com

 

녹색경제  gree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