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홍수, 지역별 차별화 대응 필요
상태바
도시홍수, 지역별 차별화 대응 필요
  • 유철상
  • 승인 2011.08.16 10: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1년 7월 26 - 27일 발생한 서울지역의 침수 및 산사태는 도시홍수의 위험을 다시 한 번 부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서울 강남역 인근, 사당역 인근, 대치동 인근 등 주요 지역에서의 침수와 우면산 일대에서 발생한 산사태는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를 남겼다.

장마 이후 지속된 강우나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 강도 등을 고려하면 상당히 이례적인 상황으로 볼 수도 있으나, 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을 고려하면 앞으로도 재현될 여지가 큰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고려대 유철상 교수
도시홍수에 대한 대책은 크게 침투시설, 저류시설(소규모, 대규모 및 빗물탱크), 빗물 펌프장과 같은 구조적인 대책과 예경보시스템과 같은 비구조적 대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침투시설이나 저류시설과 같은 구조적인 대책은 호우 발생 시 유출량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침투시설은 당연히 침투가 잘 발생할 수 있는 주로 지대가 높은 지역에서 효과적이고, 반대로 저류시설은 물이 쌓여 침수가 발생하는 급경사와 완경사가 만나는 지역에서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들 시설은 홍수 상황에 따른 체계적인 운영 및 통제가 불가능하므로 큰 홍수저감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만일 저지대에서와 같이 물이 자연적으로 밖으로 빠져나갈 수 없다면 강제로 빼 주어야 한다. 빗물펌프장은 이런 곳에 만들어 진다.

도시홍수에 대한 대책으로 자주 언급되는 것은 대부분 이러한 구조적인 대책들인데, 이는 예경보시스템과 같은 비구조적인 대책이 특히 유역 규모가 작은 도시에서 실효성이 적기 때문이다.

무슨 상황이 벌어질지를 미리 알아야 대책을 세울 수 있는데, 일단 호우가 발생하면 침수가 발생하는데 까지 수 분 길어봐야 수십 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앞으로 비가 어떻게 내릴지를 미리 안다면 추가로 시간을 벌 수 있기는 한데, 이 역시 예측의 정확도가 그리 높지 않아 한계가 있다. 결국 도시유역에서는 예경보시스템에 크게 의존하기 어려운 현실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구조적인 대책들도 그 규모를 무한정 키울 수는 없는 한계가 있다. 즉, 설계기준을 상향시켜 하수관의 크기를 키우거나 또는 대규모 저류조를 도입한다고 해도 결국 그 용량 이상으로 비가 온다면 침수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강수자체의 특성이 변화하고 있다면 과거의 관측기록을 가지고 만든 설계조건이 쉽게 무력화 될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

결국, 중요하게 부각되는 문제는 침수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것이냐 하는 것이다. 이 문제는 결국 침수에 대비하여 어느 정도의 대응시간을 확보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귀결된다.

예경보시스템의 예측 정확도를 좀 더 높일 수 있다면 당연히 대응시간의 추가 확보가 가능해 진다. 구조적인 대책인 대규모 저류조도 잘 이용하면 대응시간 확보에 도움이 된다. 일본 동경도의 경우 대규모 지하 저류조가 도입으로 수십 분의 추가 대응시간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어떤 대책 하나로 도시홍수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 그렇다고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한다고 하여 문제가 완전히 해결될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도시홍수 극복의 어떤 방향성을 제시한다면, 대상 유역별로 또는 지역별로 그 특성을 반영하는 차별화된 대책의 마련, 침수발생 시 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하는 시스템의 구축, 이를 가능하게 하는 예측 강우의 정확도 확보 등이 선결해야 할 문제들로 보인다.
 

유철상 /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사회환경공학부 교수
 

유철상  gree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