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중국 Wi-Fi 모듈 수입 막은 인도…중저가폰으로 시장 공략하는 삼성 '반사이익' 누릴까
상태바
[진단] 중국 Wi-Fi 모듈 수입 막은 인도…중저가폰으로 시장 공략하는 삼성 '반사이익' 누릴까
  • 장경윤 기자
  • 승인 2021.05.10 15: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로이터, "인도, 중국 와이파이 모듈 탑재 무선기기 수입 인증 보류"…델, 샤오미 등 中 제품 출시 연기
- 세계 2위 인도 스마트폰 시장, 삼성 반사이익 기대…삼성 중저가 폰, 中 ODM 생산돼 제약 받을 수도

최근 중국과 날 선 대립을 이거가고 있는 인도가 와이파이(Wi-Fi) 모듈을 탑재한 중국산 무선기기의 수입 인증을 보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인 샤오미·오포·비보 등이 현지 시장 공략에 차질을 겪을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삼성전자는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삼성전자가 인도 시장에 선보이고 있는 중저가 제품도 중국산 부품을 탑재하거나 중국 ODM(생산자개발생산)을 통해 생산되는 경우가 있어, 일각에서는 수혜의 폭이 제한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스마트폰 업계 관계자는 녹색경제신문에 "삼성전자의 어느 제품에 어떤 중국산 부품이 탑재되는지 일일히 확인할 수는 없으나 중저가 제품의 경우 원가 절감을 위해서는 중국과 연계해야 한다"며 "삼성전자 역시 영향을 온전히 피해갈 수는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 8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인도 통신부는 와이파이 모듈이 탑재된 중국 완제품 기기의 'WPC(무선기기) 수입인증'을 보류하고 있다. 블루투스 스피커,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노트북 등이 보류 대상 기기에 포함된다.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한 로이터는 "미국·중국·한국 등 80개 이상의 기업이 적어도 지난해 11월부터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며 "미국의 델과 HP는 물론 중국의 샤오미, 오포, 비보 및 레노보가 제품 출시를 연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까지 인도와 중국간의 갈등은 '점입가경'으로 치닫는 상황이다. 지난해 국경 충돌 사태로 첨예한 대립각을 세운 양국은 경제와 산업 분야에서도 갈등을 이어가고 있다. 일례로 인도는 지난주 5G 사업에서 화웨이·ZTE 등 중국 업체를 공식적으로 배제하기도 했다.

[사진=픽사베이]

中 업체들이 주도하는 인도 스마트폰 시장…삼성 반사이익 기대?

이와 같이 인도가 중국산 와이파이 모듈 수입을 사실상 거부하는 태도는 삼성전자에게는 반사이익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인도의 스마트폰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연 1억5000만대로 중국(3억6200만대)에 이은 2위다. 시장 규모 자체가 클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보급률이 30~40%대에 머물러 있어 잠재력이 크다.

또한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인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21%로 2위를 기록했다. 삼성전자 외에는 1위가 샤오미(26%), 3위 비보(16%), 4위 리얼미(13%), 5위 오포(10%)로 중국 업체들의 입지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주요 경쟁 업체들의 공급망이 약화되는 상황은 삼성전자에겐 시장 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다. 현재 삼성전자는 갤럭시A·M·F 등 다양한 중저가 스마트폰 라인업을 통해 가성비를 중시하는 인도 시장 공략에 총력을 기울이는 중이다.

다만 삼성전자 또한 자사의 중저가 스마트폰에 중국산 부품을 탑재하거나 중국산 ODM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카운터포인트의 ODM 트래커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생산에서 ODM이 차지하는 비중을 2019년 7%에서 지난해 30%로 크게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ODM은 생산자가 제품 설계부터 부품 수급, 생산까지 전 과정을 도맡아 처리하는 방식으로, 의뢰업체는 완성품을 검수한 뒤 자사의 브랜드를 붙여 판매한다.

삼성전자는 주로 중국 윙텍과 화친 등의 ODM 업체에 생산을 맡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으로 삼성전자가 인도에 출시한 10만원대의 스마트폰 '갤럭시M01' 모델이 윙텍 등 ODM 업체를 통해 생산된 제품이다.

한 스마트폰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중국 내 스마트폰 생산기지를 철수하기는 했으나 여전히 중저가 스마트폰을 ODM 방식을 통해 생산하거나 인도 내에서 현지 생산하고 있다"며 "제품마다 탑재되는 부품이나 현지 조달 방식에서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삼성전자 또한 인도의 정책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장경윤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