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금융사, 싱가포르행 선택 이유는…“홍콩보다 자유롭고 안전, 실적 전망도 밝아”
상태바
K-금융사, 싱가포르행 선택 이유는…“홍콩보다 자유롭고 안전, 실적 전망도 밝아”
  • 김호연 기자
  • 승인 2021.06.15 14: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하나·KB국민·DGB 등 싱가포르 금융사업 진출 ‘잰걸음’
- 홍콩, 중국 손길 떨치기 어려워 vs 싱가포르, 경제 자유도 높아

국내 금융지주가 글로벌 금융 생태계의 변화에 따라 중국 대신 싱가포르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중국보다 외교적·사회적·경제적 자유도가 높다는 게 장점이다. 덕분에 아시아의 금융허브로 거듭나고 있고, 그만큼 금융사의 글로벌 수익 기반 강화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이에 따라 하나금융지주와 KB금융지주, DGB금융지주 등 국내 금융지주는 싱가포르에 계열사를 설립하는 방식으로 싱가포르 거점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 역시 디지털 동반자 협정을 맺는 등 싱가포르에서 활동하는 국내 금융사를 지원하기 위한 준비에 나섰다. 


KB국민·하나·DGB 등 싱가포르 금융사업 진출 ‘잰걸음’


하나금융지주는 최근 싱가포르통화청으로부터 자산운용사 설립 예비인가를 획득했다.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싱가포르 자산운용시장에 진출해 글로벌 확장을 위한 아시아 핵심 시장을 확보하는 동시에 추후 글로벌 비즈니스의 주요 거점으로 삼을 계획이다.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은 “신설 예정인 싱가포르 자산운용사와 아시아 지역 내 기존 그룹 채널과의 협업을 통한 글로벌 시너지 극대화로 수익기반 다변화와 국부 증대는 물론, 유사 선진시장으로의 원활한 진출을 위한 교두보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B국민은행도 지난달 KB국민은행은 싱가포르통화청으로부터 지점 설립 예비인가를 획득했다.

이번에 획득한 예비인가는 홀세일 뱅크 라이센스로 현지 통화 기반 리테일 업무를 제외한 기업금융, 투자금융, 자본시장 관련 업무는 물론 증권업까지 포함한 모든 업무를 취급할 수 있게 된다.

DGB금융지주는 더 나아가 헤드쿼터(제2의 본사)를 싱가포르에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금융지주 내 글로벌 사업본부를 분리해 해외로 옮기고, 현지 자금 조달 등 글로벌 사업을 직접 관리시킬 계획이다.

이를 통해 디지털금융의 공세, 지역경제 침체로 인한 국내영업환경 악화를 극복하겠다는 의도다.

정부도 국내 금융사의 싱가포르 진출을 돕기 위해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연내 체결할 ‘KSDPA’(한국·싱가포르 디지털동반자협정)은 한국이 진행하는 최초의 디지털 통상협정이다. 재화와 서비스 전반을 다루는 FTA(자유무역협정)과 달리 디지털 산업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그간 디지털 부문은 FTA 협상 시 부가적 수준에서 다뤄졌다. 하지만 최근 ITC(정보통신기술) 패권 경쟁이 격화하면서 국가 차원에서 국내 기업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했다.

이번 협정은 ▲디지털 ID ▲핀테크·전자 결제 ▲AI(인공지능) ▲전자무역 등에서 싱가포르와의 협력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국내 금융사의 글로벌 디지털금융 진출을 지원한다.


홍콩, 중국 손길 떨치기 어려워 vs 싱가포르, 경제 자유도 높아


국내 금융지주들이 싱가포르에 높은 관심을 보이는 것은 기존 글로벌 금융 중심지로 꼽히던 중국 홍콩과 상하이 대비 안정적이고 경제 자유도가 높아서다.

금융업계는 홍콩과 상하이 등에서 중국 정부의 간섭을 벗어나기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싱가포르가 예전부터 글로벌 금융의 메카로 명성이 높았다”며 “여기에 최근 홍콩의 불안정한 정세의 영향으로 홍콩보다 싱가포르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콩은 1997년 영국이 중국에 반환한 뒤 상대적으로 중국 정부의 간섭이 적어 은행과 기타 금융기관을 포함한 글로벌기업의 집결지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2020년 6월 홍콩의 사법체제에 개입할 권한을 부여하는 ‘홍콩 국가보안법’을 통과시키면서 중국 정부 간섭이 커질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홍콩 국가보안법은 분리 독립, 체제 전복, 테러 및 외국 세력과의 공모 등을 하는 이에게 최대 무기징역까지 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법에 따라 수사당국은 법원의 명령 없이 건물 수색, 여행 금지, 자산 몰수와 온라인 콘텐츠 삭제 및 사용자데이터 확보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홍콩에 진출했던 기업들이 잇달아 철수를 단행하고 있다.

최근 네이버는 고객 데이터 보호를 위해 홍콩에 있던 백업 서버를 삭제하고 싱가포르로 옮긴 바 있다. 페이스북과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도 홍콩과 미국을 해저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하려는 계획을 철회했다.

김호연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