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식품 물가 하락했다"더니... 불과 '3일 만에' 물가안정 위해 업계와 소통 강화하겠다는 정부
상태바
"가공식품 물가 하락했다"더니... 불과 '3일 만에' 물가안정 위해 업계와 소통 강화하겠다는 정부
  • 문슬예 기자
  • 승인 2024.05.21 13: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일 전엔 "물가 하락"... 3일 뒤엔 "물가 하락 위해 노력하겠다"
농식품부, "물가 안정 추세 사실... 계속 노력하겠다는 입장 전한 것"
식품기업, "정부의 가격 인상 자제 요청에 공감"

[녹색경제신문 = 문슬예 기자] 정부가 지난 14일 가공식품 등의 물가가 하락했다고 밝힌 후 3일 뒤에는 물가 안정을 위해 관련 업계와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혀, 일각에서 정부의 연이은 발표에 상반된 입장이 담겼다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물가가 안정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대외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업계와 소통하며 계속 노력하겠다는 취지의 발표였다고 해명했다. 

농식품부가 가공식품 물가가 안정권에 진입한 것은 맞지만, 김 등 대외적으로 가격 불안이 있는 일부 품목의 경우 관련 업계와 소통을 강화해 물가 안정을 위해 힘쓰겠다는 입장을 밝혔다.[사진=Pixabay]
농식품부가 가공식품 물가가 안정권에 진입한 것은 맞지만, 김 등 대외적으로 가격 불안이 있는 일부 품목의 경우 관련 업계와 소통을 강화해 물가 안정을 위해 힘쓰겠다는 입장을 밝혔다.[사진=Pixabay]

21일 <녹색경제신문>의 취재를 종합하면 정부가 가공식품 등의 물가가 하락했다고 밝힌지 3일 만에 가공식품의 물가 안정을 위해 업계와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7일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최근 코코아두·과일농축액·올리브유·김 등 원자재 가격 상승, 국제유가·환율 등으로 인해 누적된 경영비 부담으로 일부 식품기업이 불가피하게 제품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건비·공공요금 상승에 이은 대외 부문 불안정으로 일부 기업이 부담을 더 이상 감내하기 어려워 6월부터 가격을 인상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농식품부는 업계와 소통을 강화해 인상 시기를 늦출 수 있도록 노력 중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농식품부는 "정부는 지속적으로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하고 있다"며 "기업들도 이에 부응해 인상률과 인상품목을 최소화하고, 유통업계와 협력한 자체 할인행사도 협의·추진하는 등 소비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함께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일각에서는 정부가 물가가 안정됐다고 밝힌지 불과 3일 만에 다시금 가공식품 물가 하락을 위해 힘쓰겠다고 밝힌 사실에 대해 의문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앞서 정부는 가공식품·외식 물가 상승폭이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 14일 농식품부는 통계청 소비자물가조사에 따르면 지난 4월 전년대비 가공식품의 물가상승률은 1.6%로 지난 2022년 하반기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그간 기업 원가 부담 및 소비자 장바구니 부담 완화를 위해 제도 개선 등을 추진하고 업계와의 소통을 확대한 결과, 물가가 안정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한 것이다. 

연이은 두 발표가 상반된 입장을 담고 있어 의문이라는 의견에, 정부는 물가가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물가와 관련해 계속된 노력을 쏟고 있다는 취지의 의견을 전달한 것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21일 <녹색경제신문>에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이 지난 2022년 10%까지 치솟았지만, 지난 2월부터 1%대를 유지하고 있다"며 "2월부터 가공식품의 물가가 안정권에 진입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국내외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가격이 급상승하고 있는 김·코코아 등의 원재료와 관련한 가공식품은 가격이 오를 여지가 있다"며 "이런 부분에 대해 식품기업에 가격 상승 반영을 최소화해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김의 경우 국내 공급량 감소로 최근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김밥용 김의 평균 도매가는 한 속(100장)당 1만89원으로 전년동기(5603원) 대비 80.1%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을 생산하는 중국과 일본의 작황 부진과 김의 수출 확대 등으로 국내 공급량이 부족해지며 공급 가격이 오르게 된 것이다.

이에 업계 관계자는 가격 인상폭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정부의 입장에 공감하고 있다는 의견을 전했다. 

김 제조업체 관계자는 21일 <녹색경제신문>에 "제품 가격 상승으로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부담이 커질 경우 더욱 좋지 않은 경제적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며 "정부가 소비자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관련 기업의 도움을 요청하는 부분에 대해 공감하고 있으며 협력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가격 인상 시기를 미루는 등 감내할 수 있는 부분까지 감내하려고 하고 있지만, 부담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정부가 물가가 안정되고 있다고 밝힌 것에 대해 사실상 국민의 체감은 미미한 정도라고 분석된다. 정부가 "앞으로도 업계와 적극 소통해 원가 부담 완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만큼 계속된 정부의 노력이 소비자 체감 물가에 조속히 반영되는 것을 기대해 본다. 

문슬예 기자  market@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