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외식 물가 하락했다"... 체감은 누가?
상태바
정부, "외식 물가 하락했다"... 체감은 누가?
  • 문슬예 기자
  • 승인 2024.05.17 14: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외식 물가 상승 폭, 22년 9월 9%→24년 4월 3%
소비자·프랜차이즈업계·노동자, "물가 여전히 높다"
농식품부, "외식 특성상 반영 속도 느릴 수 있어"

지난 14일 정부가 외식 물가 상승폭이 하락 추세를 보인다고 밝힌 가운데, 물가 안정을 국민이 체감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빗발치고 있다. 

지난 2022년 고점을 찍었던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지난 4월 크게 하락했음에도, 소비자·프랜차이즈업계·노동자 등 당사자들이 체감하는 물가는 사상 최악에 가깝다는 것이다. 

정부는 외식 물가의 특성상 다른 분야에 비해 물가 둔화 속도가 느려, 소비자들이 체감하기에는 이를 수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정부가 소비자물가·가공식품·외식 물가 상승폭이 하락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고 밝혔다.[사진=농림축산식품부]
정부가 소비자물가·가공식품·외식 물가 상승폭이 하락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고 밝혔다.[사진=농림축산식품부]

17일 <녹색경제신문>의 취재를 종합하면 외식 물가 상승폭은 점차 하락하고 있지만, 국민이 체감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지난 14일 최근 가공식품·외식 물가 상승폭이 지속 하락하고 있다고 밝혔다. 

통계청의 소비자물가조사에 따르면 가공식품 및 외식 물가 상승폭은 지난 2022년 하반기 이후 지속 하락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물가는 지난 2022년 7월 전년동월 대비 상승폭이 6.3%에서, 지난 4월 2% 대로 내려왔다.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또한 지난 2022년 하반기에 상승폭이 10%에 달했지만 지난 4월에는 각각 1.6%와 3.0%를 기록했다. 

다만, 프랜차이즈 업계, 소비자, 노동자 등 가공식품·외식을 판매하거나 구매하는 당사자들은 물가 상승폭 하락을 체감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프랜차이즈 업계에서는 총선 이후 다수의 브랜드들이 미뤄뒀던 가격 인상을 줄줄이 진행하고 있다. 굽네치킨, 파파이스, 피자헛, 맥도날드, 푸라닭 치킨 등이 5~10% 가량의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 프랜차이즈 업계는 원부재료, 인건비 등 비용의 증가와 고물가로 가맹점주들의 부담이 한계에 도달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16일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이하 서비스연맹)은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물가 인상 때문에 최저임금 노동자들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날(16일) 서비스연맹은 직접 구매한 6만2000원 가량의 가공식품, 농산물과 구매영수증을 놓고 최저임금 인상 및 생활임금 보장을 촉구했다.

소비자단체 또한 물가 하락은 기저효과의 영향일 뿐 체감은 어렵다는 입장을 전했다.

소비자단체협의회 관계자는 17일 <녹색경제신문>에 "지난해 상반기까지 외식 물가 상승률이 매우 높았기 때문에 정부가 전년대비 물가가 하락하고 있다고 밝힌 것이 사실에 부합하긴 한다"며 "다만 물가 하락 추세는 기저효과의 영향"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월과 비교할 경우 외식 물가의 불안이 여전하다"며 "정부의 여러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다만, 정부는 외식 물가가 특성상 다른 분야에 비해 물가 둔화 속도가 느리다는 입장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17일 <녹색경제신문>에 "외식 분야의 경우 가격 결정에 인건비, 공공요금, 임차료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며 "특히 식재료와는 달리 인건비·공공요금은 한번 인상할 경우 좀처럼 내려가기 어렵다는 특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전국에 9000여 개가 있고, 전국 외식업소는 80만개에 달한다"며 "농산물 가격과 다르게 외식업계는 일률적으로 가격을 인상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 체감이 어려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에 따르면 금융·세제 지원 확대 및 제도 개선, 업계와의 소통 확대 등을 통해 물가 인상폭 하락 흐름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국민들이 체감하는 물가와 괴리가 있는 만큼 정부가 계속해 물가 안정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해보인다. 

[녹색경제신문 = 문슬예 기자]

문슬예 기자  market@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