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주택 7만가구 돌파...건설사 줄도산 우려
상태바
미분양 주택 7만가구 돌파...건설사 줄도산 우려
  • 박금재 기자
  • 승인 2024.06.04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도권 미분양 증가세 두드러져
건설사 부도·폐업 신고 줄이어
서울 아파트 전경[사진=녹색경제신문DB]
서울 아파트 전경[사진=녹색경제신문DB]

[녹색경제신문 = 박금재 기자] 전국 미분양 주택이 지난해 4월(7만1365가구) 이후 1년 만에 다시 7만가구를 돌파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약 1만3000가구로 9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공사비 급등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건설회사가 신음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분양 리스크도 떠오르며 업계에선 줄도산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4일 국토교통부의 '4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1997가구로 집계됐다. 지난 3월말 기준 6만4964호보다 10.8% 증가한 수치다. 전국 미분양 물량이 7만가구를 넘어선 것은 지난해 4월(7만1365가구) 이후 처음이다.

특히 수도권의 미분양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경기는 전월보다 13.4% 증가해 9459가구를 기록했다. 이에 경기는 대구(9667가구) 다음으로 미분양이 많은 곳이 됐다. 경기에서의 미분양은 주로 이천과 평택에서 발생했다.

경기의 미분양 규모가 9000가구대까지 늘어난 것은 2017년 7월(9560가구) 이후 6년 9개월 만에 처음이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지난달 1만2968가구로 3월보다 6.3%(744가구) 늘었다. 악성 미분양은 지난해 8월부터 9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악성 미분양이 많이 쌓인 곳은 △경남(1684가구) △대구(1584가구) △전남(1302가구) △경기(1268가구) 등이다.

정부는 지방 미분양 해소를 위해 준공 후 미분양을 매입하면 세제 산정 때 주택 수에서 제외하도록 시행령을 개정했다. 더불어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는 기업구조조정 리츠(CR리츠)를 10년 만에 재도입했지만 업계에선 실효성이 부족하단 평가다.

실제 건설사들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까지 부도 처리된 건설사는 지난해(5곳)보다 세 배가량 많은 14곳이었다. 종합건설사 폐업 신고는 152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9% 증가했다. 

향후 전망도 좋지 않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이달 기준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지난달 대비 2.0포인트 떨어진 74.1로 나타났다. 지수가 85보다 낮은 경우 하강 국면을 의미한다. 

지방 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미분양이 단기간에 해소될 것 같지가 않아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PF 대출을 갚기 위한 정부의 지원을 중소형 건설사 입장에선 받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금재 기자  re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