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新동맹시대 도래..."혁신 위해 적과의 동침 불사"
상태바
금융권 新동맹시대 도래..."혁신 위해 적과의 동침 불사"
  • 박금재 기자
  • 승인 2024.06.27 17: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토스뱅크-광주은행, 공동대출 서비스 출시 예정
혁신금융서비스 앞세워 금융당국 지원 얻어내
KB국민카드-iM뱅크 포괄적 업무제휴 협약식 사진.
KB국민카드-iM뱅크 포괄적 업무제휴 협약식 사진.

[녹색경제신문 = 박금재 기자] 금융사들 사이에서의 협업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혁신금융서비스를 선보이기 위해 각자가 가진 강점을 합치는 시도가 일어나고 있는 덕분이다. 업계는 금융사들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가 늘어나면서 앞으로도 금융사 간의 협업이 더욱 잦아질 것이란 전망이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토스뱅크와 광주은행은 '공동대출 서비스'를 오는 3분기 선보일 예정이다. 해당 서비스는 소비자가 토스뱅크 앱에서 대출을 신청하면 토스뱅크와 광주은행이 각각 소비자에 대해 대출심사를 실시한 이후 대출한도와 금리를 함께 결정해 토스뱅크 앱 내에서 한 번에 대출을 취급하는 구조다. 두 은행은 결정된 대출 한도 내에서 대출금을 절반씩 분담해 취급하게 된다.

이는 국내에서 인터넷은행과 지방은행이 처음 협업한 상품 사례다. 금융위원회는 이를 지원하기 위해 토스뱅크가 광주은행을 대신해 대출 모집·고객 정보 확인·대출심사 결과 전달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특례 등을 부여했다. 금융위 측은 이번 공동대출 상품 출시를 통해 은행권 대출 시장에 경쟁을 촉진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소비자 측면에서도 은행이 대출 취급 비용을 절감하고 차주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게 되면서 보다 낮은 금리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더불어 이용 편의와 접근성이 우수한 인터넷전문은행의 모바일 앱을 통해 지방은행 대출까지 이용하게 돼 편익이 증대되는 측면도 존재한다.

국민카드와 iM뱅크 역시 금융사 협업 사례에 이름을 올렸다. 두 기업은 카드사업 활성화를 카드사업 활성화를 위한 포괄적 업무제휴 협약을 체결했다. iM뱅크의 청소년 선불카드 출시를 위한 협업이 이뤄진 것이다. 국민카드는 올 하반기 청소년 유스카드 출시에 맞춰 선불카드 업무 대행을 시작할 예정이다. 

더불어 국민카드는 iM뱅크와 △카드 업무 관련 경험 공유 △iM뱅크 카드 사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 지원 △다양한 시너지 창출 및 신규 비즈니스 발굴 등 iM뱅크의 성공적 카드사업 추진을 위해 상호협력 하기로 했다.

이어, 국민카드는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안정적인 선불카드 업무 대행 시스템을 구축해, iM뱅크가 시중은행으로 전환 후 하반기에 첫 출시하는 청소년 유스카드의 성공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삼성금융과 KB국민은행은 슈퍼앱 개발을 위해 맞손을 잡았다. 삼섬금융의 통합 금융 플랫폼 '모니모' 내 뱅킹 거래 및 금융 상품·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KB국민은행이 힘을 보탠 것이다. 두 기업은 협업을 통해 삼성금융 모니모 회원 전용 입출금통장을 준비하고 있다. 해당 통장은 모니모에서만 가입이 가능하고 삼성금융 및 모니모 이용 수준에 맞춰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구조로 출시될 예정이다. 양사는 상품 출시에 앞서 금융위원회의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처럼 금융사들은 단독으로 힘든 서비스를 동맹 관계를 통해 선보이는 것을 노리고 있다. 특히 혁신금융서비스를 앞세우면 경쟁을 촉진한다는 명분을 내세울 수 있어 금융당국에서도 환영하는 분위기다.

다만 동맹 관계가 장기간 지속되긴 어려울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두 기업이 협업해 내놓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이용자들이 한 금융사의 플랫폼에만 편중될 경우 이익이 불균등하게 발생할 수 있어 언제든 갈등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더불어 서비스 과정에서 소비자의 불편이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책임소재가 불분명하다는 한계도 존재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사 간의 협업이 진행되면서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하는 점은 긍정적"이라면서도 "서비스를 통해 발생한 이익을 어떤 방식으로 공평하게 나눌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이라고 말했다. 

박금재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