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사진, 6개월 전에 무얼 했나 확인해야
“AI 전문 기관, 자격증 좋게 볼까 의문”
![기사와 상관 없는 사진. [사진=Unsplash]](/news/photo/202408/317148_358381_1610.jpg)
[녹색경제신문 = 이선행 기자]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이하며 AI와 관련된 자격증(이하 AI 자격증)이 난무한다.
지난 5월, 국내 한 데이터 전문가가 AI와 관련된 자격증을 정리한 자료에 따르면 AI 자격증이 약 200여 개에 이른다.
분야도 교육(지도사), 마케팅, 진로, 체육, 코딩, 콘텐츠 제작 등으로 다양하다. 어린이나 시니어로 대상을 세분화한 경우도 있다. 자격관리기관은 대기업, 대학교, 민간 협회, 사단법인 등이다.
업계 관계자 A씨는 “AI가 계속 진화 중인 상황에서, 이를 잘 활용하고 교육할 수 있다는 등의 자격증을 발급하는 것 자체에 의문이 간다”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그 누구도 AI의 발전 방향을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다. 자격 부여 기관의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한 수단이 아닌지 짚어봐야 한다”고 말했다.
기관이 신고만 하면 민간자격으로 등록이 가능한 ‘자격증’을 위해 소비자는 때로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이날 기자가 무작위로 AI 자격증 발급 기관 열 곳에 전화한 결과, 무료인 경우도 있었으나 많게는 10만 원까지 요구하기도 했다.
응시료, 교재비, 자격발급비를 모두 요구하는 곳이 있는가 하면, 강의를 보는 것은 무료인데 자격 증서를 받기 위해서 따로 돈을 내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
자격증 발급 기관 관계자 B씨는 “신청만 하면 자격증 발급이 가능하도록 준비해 놓은 것이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한 자격증 발급 기관 사이트는 AI 자격증이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을 지원한다’고 광고했다.
A씨는 “‘한 줄’이라도 더 필요한 경력단절여성, 취업준비생들의 주의가 특히 요구된다. 자격증은 결국 기관 제출용으로 취득하는 것이 아니냐”며 “AI 전문 기관은 오히려 이러한 자격증들에 의구심을 품고 안 좋게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똑똑한 소비자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자격증 발급 기관과 강사진의 이력 모두를 따져야 한다. 강사진들의 6개월 전 이력을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이선행 기자 lycaon@greene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