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 삼성·SK·LG의 개막 선언 초점은?... 단연 ‘AI’
상태바
[CES 2025] 삼성·SK·LG의 개막 선언 초점은?... 단연 ‘AI’
  • 문슬예 기자
  • 승인 2025.01.06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전자, 초개인화를 위한 Home AI 솔루션 제안
각 멤버사 모두 AI 관련 기술 전시하는 SK
LG전자, 디스플레이 기술 활용해 AI 홈 공간 조성

[라스베이거스 = 문슬예 기자] 삼성전자, SK, LG가 오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CES 2025’의 개막을 앞두고 전시에서 보여줄 새로운 기술의 테마를 강조했다. 각 사 모두 AI 관련 기술을 전시의 메인 주제로 잡았다. 

삼성전자가 CES 2025에서 선보이는 Neo QLED TV.[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의 올해 CES 주요 전시 주제는 AI를 일상에서 폭넓게 경험할 수 있게 하는 ‘Home AI’다. 

삼성전자는 CES 2025에서 ‘모두를 위한 AI(AI for All)’를 주제로 초개인화를 위한 ‘Home AI’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Home AI는 삼성전자의 AI 기술과 스마트싱스를 통해 주거와 라이프스타일의 연결을 강화하는 솔루션이다. 

Home AI를 구현하는 핵심 플랫폼인 스마트싱스는 구매한 제품을 스마트싱스에 자동으로 연결하는 ‘캄 온보딩(Calm Onboarding)’, 스마트싱스에 연동된 삼성 제품이 주변에 있을 경우 삼성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퀵 리모트(Quick Remote), 집안 기기들을 한눈에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맵 뷰(Map view)’ 등의 기능을 갖췄다. 

특히 삼성전자는 집을 넘어 빌딩, 차량, 해상으로까지 스마트싱스 기능을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스마트싱스 프로는 아파트, 매장, 오피스, 호텔 등에 적용 가능한 기업형 비즈니스 솔루션을 제공하고 삼성전자 기기와 현대자동차와의 연결 경험도 제공한다. 또한 삼성중공업에서 개발 중인 ‘자율 항해 선박(Shift-Auto)’에도 스마트싱스 기술이 적용돼 선박 내 기기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SK그룹 공동 전시관 조감도.[사진=SK]

SK가 선보이는 멤버사 공동 전시관이 선보이는 기술에는 모두 AI가 담겼다. 크게 Innovation Gate, AI Data Center, AI Service, AI Ecosystem, Sustainable Tree로 구분된 SK그룹관에서는 전시관에 참여하는 각 멤버사의 AI 관련 기술이 전시된다.

SK텔레콤은 전력원 확보, 인프라 관리, 클라우드 플랫폼 등 AI 데이터센터의 주요 솔루션을 선보인다. 최근 폭발적으로 증가 중인 AI 서비스로 인해 늘어나는 AI 데이터센터 설립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SK하이닉스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AI 인프라 구축의 핵심 제품인 HBM을 선보인다. 이번에 공개하는 HBM3E 16단 제품은 세계 최고 용량인 48GB(기가바이트)를 구현하며, 초당 최대 1.2TB(테라바이트)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앱솔릭스(SKC)는 AI 등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게임 체인저’인 글라스 기판 반도체 패키징 기술을 선보인다. 

LG전자 CES에서 공개하는 프리미엄 주방 제품군.[사진=LG전자]

LG전자 전시관의 주제는 ‘공감지능과 함께하는 일상의 라이프스 굿(Life’s Good 24/7 with Affectionate Intelligence)’이다. 고객과의 공감을 통해 보다 차별화된 AI 경험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LG전자는 집에서 누리는 AI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AI 홈' 존을 선보인다. 생성형 AI를 탑재한 ‘LG 씽큐 온(ThinQ ON)’, 온디바이스 AI 기반의 콘셉트 제품 등을 배치했다. 

이러한 AI 홈은 모빌리티 영역으로 확장된다. AI 홈을 차량으로 확대한 이동식 맞춤 공간 ‘MX(Mobility eXperience) 플랫폼’은 LG전자의 가전과 LG 씽큐 온을 활용해 쾌적한 공간 경험을 제공한다. 

77형 ‘LG 시그니처 올레드 T’ 28대와 대형 샹들리에 조명을 활용한 초대형 미디어아트도 만날 수 있다. 또한 전면의 97형 올레드 TV와 벽을 따라 LED 사이니지 250여 장을 이어 붙여 구현한 대형 비디오 월로 조성된 동굴 형태의 공간에서는 독자 화질과 음질을 갖춘 AI 칩셋 ‘알파11’과 스마트 TV 플랫폼 ‘webOS’가 제공하는 다양한 AI 서비스를 소개한다. 

문슬예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