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 우수·가격 저렴·다용도 사용 등 여러가지 강점 있어
시간·비용 많이 들어 정부의 지원 필수
[녹색경제신문 = 유자인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KAI)는 한국 방산업계의 희망이라고도 불린다. 방산 수출로만 작년 4조를 넘게 수주, 매출은 3.8조 정도를 달성한 쾌거를 이뤄냈다. 전통적인 한국 수출산업인 조선, 철강, 반도체 등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수출 '효자'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KAI 관련자들은 자기 일에 강한 자부심을 드러냈다. 현재 동남아시아, 중남미, 중동, 구소련 동유럽 국가들 등을 집중적으로 공략하고 있지 않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한 관계자는 웃으면서 “그뿐이 아니다. 우리는 전 세계가 공략 대상이다”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KAI, “다른 곳보다 품질도 우수하고 가성비가 높은 것이 우리의 강점”
관계자는 기술력이 없던 때를 회상하며 “항공산업 초기만해도 해외 기술협력이 필수적이었고 항상 국내개발이 아닌 해외 항공기를 도입하자는 국내 개발 반대 의견에 직면해야 했다. 이렇듯 지난 30년간 우리 엔지니어들은 열악한 여건속에서 맨땅에 헤딩하며 기술을 축적하고 지금의 K-방산의 신화를 이뤄냈다”며 자랑스러워했다.
이어 “항공기 개발은 플랫폼하나를 개발하면 다양한 기종으로 파생되어 기술 축적과 경쟁력을 갖추게 된다.” 며 “T-50은 훈련기에서 FA-50 다목적 전투기 까지 파생되어 성능개량이 이뤄지고 있고 수리온은 육군 기동헬기로 개발되어 현재는 군용 관용헬기로 10개의 파생기종들로 개발됐다. 항공기 개발은 진화적 개발을 통해 기술적 가치가 높아 지고 그 기술이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한 경쟁력이 되는 선순환 구조를 갖는다”고 설명했다.
특히, “항공산업의 경우에는 유지·보수하는데도 돈과 시간이 든다. 통상적으로 이런 유지비용과 성능개량을 포함하면 애프터마켓 시장은 항공기 가격의 1.5에서 2배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된다. 그런데 유럽이나 미국은 그쪽 일정에 맞춰야 해서 시간도 오래 걸리고 시간대도 다르다. 하지만 한국은 '빨리빨리'의 민족이고 고객들의 만족도를 굉장히 중요시하다 보니 바로 가서 고치고 고객들의 요구가 만족될때까지 계속 노력한다. 이것도 우리의 또 하나의 강점”이라고 말했다.
업계의 노하우와 기술, 다른 산업에도 쓸 수 있어... “95%를 달성했으면 실패가 아니라 95%만큼의 성과를 이룬 것”
항공업계는 그야말로 최첨단 기술의 접합체라 할 수 있다. 가볍고 튼튼하고 공기저항도 줄이는 소재, 가공 기술, 통제 체계 등 여러 가지 혁신적 기술이 합쳐져야 항공기 하나가 만들어진다.
관계자는 "이런 기술이 다른 산업에도 쓰일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일례로 자동차 디스플레이 중 윈드실드 디스플레이라고 해서 별도의 창 없이 앞 유리를 통해 보여주는 방식이 있다. 이건 원래 조종사들이 쓰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전통적인 한국의 ‘수출 효자’ 산업인 자동차업 같은 경우 관계자는 “겹치는 부분이 분명 존재하고 현재는 기술이전이나 공유가 덜하지만 앞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어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프로젝트가 100%가 목표인데 95%를 달성했으면 어? 실패했네? 라는 시각이 존재한다. 그런데 중국은 두말할 것도 없고 미국의 경우에도 이런 상황에서는 그러면 더 실험하고 개발하라고 외려 예산과 기간을 더 준다. 우리도 장기 개발사업에 대한 시각이 좀더 유연할 필요가 있다. 5%실패가 아닌 95%노하우가 쌓였다는 점에 주목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항공산업은 타 산업에서의 부가가치 창출이나 기술 혁신을 가져오는 첨단 산업인 만큼 관계자의 말처럼 정부의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국가 전체를 위한 사업이라 생각하고 크게 지원해야 한다. 이걸 순전히 비용절감, 이윤 극대화의 경제 논리로만 볼 것이 아니라 차근차근 한국의 미래를 담보한다 생각하고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유자인 기자 pol@greene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