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R(소형모듈원전) 대한민국 에너지 전략의 미래 될 수 있을까?...2035년 상용화 목표, 성공 가능성 논의
상태바
SMR(소형모듈원전) 대한민국 에너지 전략의 미래 될 수 있을까?...2035년 상용화 목표, 성공 가능성 논의
  • 문홍주 기자
  • 승인 2025.03.27 09: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SMR 공장 제작 후 현장 설치 가능, 1~2년 내로 건설 끝낼 수 있어 주목
- 전문가들, 국제 협력 논의 및 정치적 결단 필요 강조

[녹색경제신문 = 문홍주 기자]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 시대의 현실적인 해법으로 '소형모듈원전(SMR)'이 주목받고 있다. 26일 국회 제3간담회의실에서 열린 ‘소형모듈원전 동향과 전망 정책토론회’는 SMR의 기술적 진보와 정책적 과제를 총망라한 장이었다.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로부터 표준설계 인증을 받은 뉴스케일파워의 소형모듈원자로
▲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로부터 표준설계 인증을 받은 뉴스케일파워의 소형모듈원자로(사진출처= 뉴스케일파워)

이번 토론회는 (사)인구와기후그리고내일이 주최하고, 좌장은 신성철 전 KAIST 총장이 맡았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서울 동작을, 5선)은 주최자로서 개회사를 통해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보, 그리고 국제 협력의 전략적 수단으로 SMR이 중심에 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권영진 의원(대구 달서병), 김은혜 의원(성남 분당을), 김민전 전 비례대표 의원, 강선영·최보윤·김소희 의원, 조승환 의원(부산 중구·영도) 등 여당 인사들이 대거 참석해 SMR에 대한 정치적 관심을 드러냈다.

2035년 SMR 상용화 목표, 성공 가능성 논의

첫 발제를 맡은 이정익 KAIST 교수는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전력 외 산업 부문에서의 탈탄소화가 필수적”이라며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산업처럼 막대한 열 수요가 존재하는 분야에 SMR, 특히 고온가스로(HGTR) 기술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고온가스로는 헬륨을 냉각재로 사용해 사고 시에도 자연 냉각이 가능하며, 기존 경수로보다 낮은 출력 밀도로 설계돼 절대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며 “비상계획구역이 필요 없어 도심 인근 산업단지에도 설치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국내 기업들도 이제야 원자력의 열 이용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으며, 포스코·SK·롯데케미칼 등이 직접 고온가스로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며 “이제는 원자력이 단지 전기를 넘어서 산업용 열공급, 수소 생산, 조선·해양 분야 탈탄소화의 핵심 수단으로까지 진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발제자인 김한곤 iSMR 개발사업단장은 혁신형 SMR 개발의 진행 상황과 향후 계획을 설명하며 “현재는 표준설계를 마무리 중이며, 2026년 인허가 절차를 거쳐 2035년 상업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단장은 “한국형 SMR은 원자로, 증기발생기, 펌프 등이 통합된 일체형으로 공장에서 제작 후 현장에 설치 가능하며, 1~2년 내로 건설을 끝낼 수 있는 구조”라며 “석탄화력 대체 시장, 특히 노후된 선진국 석탄화력 부지에 최적화된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단장은 “문제는 첫 번째 실증”이라며 “전 세계가 SMR을 주목하지만 실제로 누가 최초 상용화에 성공하느냐가 산업의 흐름을 결정지을 것”이라며, 정부와 정치권의 조기 지원과 결단을 촉구했다.

전문가들 실증 부지 확보 및 정책 일관성 요구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각계 전문가들이 기술 외적 장애 요소들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

조진영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스마트 원자로는 2012년과 2024년 두 차례 설계 인허가를 받았지만, 국내 건설 부지를 확보하지 못해 수출도 막혀 있는 상황”이라며 “국내 실증 없이 해외에 팔 수 있다는 기대는 환상”이라고 단언했다.

박우영 에너지경제연구원 본부장은 “에너지 믹스 계획의 일관성 부족이 투자 의지를 꺾고 있다”며 “SMR은 기술보다 정책의지가 더 시급하다”고 했다.

김용수 한수원 실장도 “한수원이 주도적으로 SMR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리스크가 큰 만큼 정부의 초기 재정 지원과 제도적 안정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좌장을 맡은 신성철 회장은 “SMR은 기술만의 문제가 아니라 협력의 문제다. 과학기술-산업-관료-정치가 긴밀히 협력해야 대한민국이 기술패권 시대에 다시 한 번 도약할 수 있다”며 “정치권이 평소에 정확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왜곡 없이 정책을 밀고 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토론회는 기술·경제·정책 각 측면에서 SMR이 가진 가능성과 걸림돌을 종합적으로 짚은 자리였다. ‘페이퍼 원자로’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선 실증 건설과 제도 정비가 시급하며, 이를 위한 정치권의 결단이 필요하다는 데 참석자들은 뜻을 모았다.

앞으로 진행될 예비타당성조사와 실증단지 확보, 국제 파트너십 추진 등이 SMR 개발의 현실화를 가를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문홍주 기자  re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