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상호관세 부과 여부에 철강업계 촉각…25%보다 높아질까 우려
상태바
트럼프 행정부 상호관세 부과 여부에 철강업계 촉각…25%보다 높아질까 우려
  • 정창현 기자
  • 승인 2025.04.01 16: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트럼프 행정부 상호관세 발표 약 하루 앞두고 철강업계 긴장
상호관세 추가되면 기존 철강 관세 25%보다 관세 더 부과해야
관세 대응 차원에서 현대제철, 포스코 등 미국 현지 투자 이어져

[녹색경제신문 = 정창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도입을 공식화하면서 국내 철강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기존 25% 철강 관세에 더해 상대국이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 수준을 반영한 추가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한국 철강업체들의 대미(對美) 수출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백악관 경제정책 브리핑에서 “미국이 낮은 관세를 적용하는 국가에도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공정한 무역”이라며 상호관세 정책 시행을 공식화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자국 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에 대해 보복성 추가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철강업계는 이번 조치가 기존 25% 철강 관세와 별도로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한국산 철강 제품이 미국으로 수출될 때 추가 관세까지 적용될 경우, 수출 경쟁력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국내 주요 철강 기업들은 미국 내 생산시설 투자를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포스코는 전기차 배터리 소재 관련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현대제철 역시 미국 내 합작 투자 및 생산시설 확충을 논의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시장을 포기할 수 없는 만큼 현지 생산을 늘리는 것이 최선이지만, 초기 투자비와 운영 비용 증가가 부담”이라고 말했다.

포스코가 생산하는 열연제품. [사진=포스코]
포스코가 생산하는 열연제품 [사진=포스코]

정부도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상호관세 적용을 완화할 방안을 모색 중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내에서 협상 여지가 있는지 검토하고 있으며, 필요 시 미국 측과 협상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한국이 ‘우호국’ 지위를 인정받을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한 통상 전문가는 “미국이 중국, EU 등과의 무역 분쟁을 고려해 한국을 우호적 무역 파트너로 간주하도록 설득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철강 외에도 자동차, 반도체 등 산업 전반에서 협상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철강업계가 미국 외 대체 시장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동남아, 유럽 등 새로운 시장 개척과 함께 프리미엄 철강 제품 개발을 통해 수익성을 높여야 한다”며 “특히 친환경·고강도 철강재 분야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자들에게 상호관세 내용에 대한 질문을 받고서 "어쩌면 내일(4월 1일) 밤 또는 아마 수요일(4월 2일)에 보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정창현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