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 박배호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 선정
상태바
건국대 박배호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 선정
  • 정우택
  • 승인 2012.01.04 14: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꿈의 신소재 ‘그래핀’ 표면 주름 구조 밝혀내

 건국대는 4일 물리학부 박배호(朴培昊, 41세) 교수가 지금까지 개념적으로만 알려져 왔던 꿈의 신소재 그래핀(graphene) 표면 주름의 존재와 구조를 세계 최초로 밝히고 주름 구조를 제어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국내 나노물리 연구를 세계적 수준으로 높이는데 기여한 공로로 교육과학기술와 한국연구재단이 선정하는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월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박배호 건국대 교수
박배호 교수는 지난해 7월 그래핀 주름 구조의 특성을 밝혀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전문지 ‘사이언스(Science)'誌에 게재하였고, 특히 연구결과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사이언스 온라인 속보(Science Express)‘에 먼저 소개되는 영예를 얻었다.

 박 교수는 다양한 첨단 실험 기법을 이용해 나노 소재와 소자를 직접 제작하고 새로운 물리적 현상을 측정․이해하여 나노 소재와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꾸준히 연구해왔다.

특히, 지난해에는 그래핀 주름구조의 특성연구를 통해 동일한 그래핀에서 미세주름의 방향이 다른 구역(domain)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열처리 공정으로 구역의 구분을 없앨 수 있으며 그래핀 전체가 일정한 마찰력을 지니도록 재구성할 수 있음을 증명하여 자유자재로 휘어지는(flexible) 전자소자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또한 박배호 교수는 복잡한 공정(패터닝과 식각) 없이도 원자힘 현미경을 이용해 일상적인 환경에서 그래핀을 나노크기로 산화 또는 수소화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그래핀 기반 나노 소자 구조 형성과 특성 연구에 다양성을 제공하였다.

 박 교수는 원자힘 현미경에 공급하는 전압을 조절하여 작은 그래핀 조각을 산화 및 수소화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지난해 7월 나노화학 분야의 권위지인 ‘ACS Nano'지에 논문을 발표하였다.

 또한 수상자는 산화물 박막에 펄스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산화물 내부의 산소 이온 분포를 변화시켜 산화물의 저항변화 특성을 제어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이 현상을 이용해 단일물질로 구성된 차세대 저항 변화 메모리를 구현할 수 있음을 증명하여 물리학 분야의 권위지인 응용물리학회지(Applied Physics Letters)에도 논문을 발표하였다(2010년 8월호).

 이 외에도 박배호 교수는 지난 10년간 나노소재 및 나노소자와 관련된 기초와 응용 분야를 접목하는 연구를 꾸준히 진행해왔다. 이미 120여 편의 SCI 논문을 발표하였고, 인용횟수도 3,500번을 넘어 이 분야의 유망한 신진과학자로 인정받고 있다.

정우택 기자

 

정우택  cwtgreen@naver.com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