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테오 “작년 4분기 모바일 앱 거래, 전년比 48% ↑”
상태바
크리테오 “작년 4분기 모바일 앱 거래, 전년比 48% ↑”
  • 정희조 기자
  • 승인 2018.03.07 11: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바일커머스 매출 중 인앱(in-app) 비중 66% 기록

전 세계 전자상거래에서 모바일 앱과 옴니채널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커머스 마케팅 전문기업 크리테오가 소비자들의 쇼핑 활동‧행태‧선호도에 관한 인사이트를 담은 ‘2017년 4분기 글로벌 커머스 리뷰’를 7일 발표했다. 

크리테오의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전 세계적으로 인앱(In-App)거래가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는 인앱 거래 비중이 52%까지 상승하며 모바일 웹(27%)과 데스크톱(21%)를 합한 수치보다 높았다. 앱과 모바일 웹을 모두 제공하는 모바일 커머스에서 앱을 통한 매출이 66%를 기록하며 모바일 웹(34%)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또한 쇼핑 앱의 구매 전환율은 모바일 웹보다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업들은 앱 최적화를 통해 소비자와 접점을 늘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반면 데스크톱 기반 거래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전세계 전자상거래에서 모바일 기반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50%까지 상승한 가운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우 69%를 기록하며 모바일 의존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옴니채널의 중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작년 4분기 옴니채널 이용자는 전체 소비자의 7%에 불과하지만 온‧오프라인을 포함한 전체 매출의 2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 매장을 보유한 브랜드의 경우 활용 가능한 데이터 범위가 약 4배 이상 상승해 소비자에 대한 이해와 온라인 퍼포먼스를 높일 수 있었다. 

시간대에 따른 이용 기기 변화도 특징으로 나타났다. 직장인 사용이 증가하는 오전 9시부터 정오까지 데스크톱을 통한 구매가 늘어났고 퇴근 시간 이후 저녁이나 주말에는 스마트폰, 태블릿을 통한 구매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기업들이 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마케팅 활동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크로스 디바이스 데이터를 통해 소비자의 전체 쇼핑 여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한국의 경우 전체 데스크톱 거래의 20%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클릭 이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크로스 디바이스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아울러 다수의 디바이스에서 구매 의도와 행동이 매칭된 소비자는 주문 건당 평균 지출액이 42%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민호 크리테오 코리아 대표는 “모바일을 통한 쇼핑이 일반화됨에 따라 고객과의 다양한 마케팅 접점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크로스디바이스, 옴니채널이 마케팅의 화두가 되고 있다”라며 “이번 크리테오 보고서를 통해 국내 마케터들이 모바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글로벌 쇼핑 트렌드를 파악하고 이를 활용해 최적의 마케팅 결과를 도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정희조 기자  market@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