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도급 보복행위 신고해도 공정위 '수수방관'...GS건설·대림산업·두산건설 등 13건
상태바
하도급 보복행위 신고해도 공정위 '수수방관'...GS건설·대림산업·두산건설 등 13건
  • 박근우 기자
  • 승인 2018.10.14 14: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병욱 의원, 최근 5년간 하도급법 보복조치 신고 13건 중에 고발은 단 한 건도 없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경기도 성남시 분당을)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 하도급법 제19조 위반 보복조치 신고 및 조치현황 자료에 따르면, 보복조치 신고 13건 중 고발은 단 한 번도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19조는 수급사업자가 하도급법 위반으로 원사업자를 신고한 경우 이를 이유로 원사업자가 부당한 보복조치를 하는 것을 금지하여, 수급사업자의 신고 행위를 보호하려는 조항이다.

공정위는 GS건설, 포스코건설, 대림산업, 두산건설 2건, 진흥기업, 원일종합건설, 명신종합건설 등으로부터 보복행위를 당했다고 신고한 13건 중 9건은 심사절차를 종료했고 4건은 무혐의로 결론을 내리면서 단 한건도 과징금을 부과하거나 고발조치를 하지 않았다. 무혐의 4건은 현대건설, 두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계룡건설산업 등이었다. 

최근 5년간 공정위 하도급법 보복조치 신고 및 조치 내역

공정거래위원회는 2016년 12월 하도급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원사업자가 하도급업체에 보복행위를 해서 단 한 차례만 고발 조치되더라도 공공분야 입찰에 참여할 수 없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시행했다.

이번 달 시행령을 한 차례 더 개정하면서 보복행위로 3년 간 두 차례 과징금을 부과받으면 공공 입찰참여가 제한되는 ‘투스트라이크 아웃제’를 도입했다.

김병욱 의원

이러한 시행령을 만들기만 하고, 정작 보복행위 신고 건에 대해 고발은 커녕 과징금 조치도 취하지 않은 것이다.

김병욱 의원은 “하청업체가 발주처의 위반 행위를 밝힐 때에는 굉장한 용기가 필요하다. 보복 행위 신고에 대해서 공정위가 이토록 소극적인 대응을 한다면, 하청업체가 어떻게 공정위를 믿고 신고를 할 수 있겠는가?”라고 지적하며, “신고 건수는 13건이지만 신고조차도 하지못하고 끙끙 앓는 하청업체가 훨씬 많다는 생각으로 이 문제를 접근해야한다”고 밝혔다.

박근우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