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로봇' 상용화 눈앞, 치솟는 배달비 대안 될까?
상태바
'배달로봇' 상용화 눈앞, 치솟는 배달비 대안 될까?
  • 이용준 기자
  • 승인 2022.06.09 16: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로봇배송 관련 규제 완화 방침
우아한형제들, 테헤란로서 배민 '로봇배송' 실증 실험
배달로봇, 이륜차 보다 생산성 낮아 실외 배송시장 구축 어려워

정부가 배달로봇 상용화를 위한 도로주행 규제완화부터 주소정보 인프라 확대에 나섰다. 정치권이 배달로봇 육성에 박차를 가한 가운데 배달의민족은 로봇산업진흥원의 지원 아래 로봇 서빙·배달 서비스 실증실험에 나서면서 화제다.

이처럼 민관이 함께 로봇배송 상용화에 팔을 걷어 붙인 가운데 최근 이슈인 배달비 인상 논란이 해결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로봇배송은 경제적 실효성이 낮아 이륜차 배송을 대체하기 어려울 것이란 의견도 제기된다.

배민 운영사 딜리타워
우아한형제들의 배달앱 ‘배달의민족’이 운영중인 실내 배달로봇 ‘딜리 타워’.
[사진=우아한형제 제공]

민관 협력 ‘배송로봇’ 개발 박차


로봇배송이 라스트마일 시장의 신성장 동력으로 각광받으면서 유통업계가 배달로봇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배달의민족(배민)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은 서울 삼성동 테헤란로 일대에서 로봇 서빙·배달 서비스 실증실험을 진행한다.

우아한형제들은 로봇산업진흥원이 주관한 'AI·5G 기반 대규모 로봇 융합모델 실증사업'에 선정돼 서울시와 강남구, 지자체와 더불어 WTC서울, LG전자, LX한국국토정부공사와 손잡고 오는 8월부터 무역센터 실내에서 서빙로봇을 운영한다고 8일 밝혔다. 내년에는 서비스 지역을 테헤란로 근처 오피스 빌등으로 넓혀 실외 D2D 배달 서비스도 선보일 계획이다.

이밖에 GS리테일,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업계도 실내·외 자율주행 배달로봇 실험을 확대하고 올해 안에 로봇배송 역량을 더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배달로봇 업계는 여전히 관련 각종 규제가 시장성장을 막고 있다는 입장이다. 이미 기술적인 부분에서 로봇배송 상용화가 가능한 만큼 규제를 대폭 완화해 시장경쟁력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에 윤석열 정부는 '친시장주의'를 표방하는 만큼 자율주행 로봇의 보도통행 규제를 완화하고 디지털 주소정보를 확충한다는 방침이다. 한덕수 국모총리는 지난 8일 서울 강서구 자율주행 로봇 전문기업을 방문해 배달 로봇의 도로 자율주행 시연에 참관한 뒤 “법령 개정을 통해 자율주행 로봇의 보도통행을 허용하는 등 규제 개선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규제완화 의지를 전했다.

이어서 한 총리는 “자율주행 로봇의 안전성 확인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규제샌드박스 승인 부가 조건의 완화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행정안전부는 ‘제1차 주소정보 활용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국가주소정보 인프라를 현재 대비 2배 이상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사람뿐 아니라 로봇이 인식 가능한 주소정보 기반 시설을 확충해 로봇배송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현재 700만개 수준의 주소표시가 2026년 1400만개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도로교통법과 지능형로봇법상 자율주행 로봇은 원칙적으로 ‘차’로 분류돼 보도 통행이 금지돼 있다. 만약 자율주행 로봇이 도보를 통행할 시 현장요원 1명이 반드시 동행해야 하는 ‘샌드박스’ 규제도 걸려있는 상태다.

‘로봇배송’ 시장 성장 가속화, 배달료 인하 될까?


이처럼 민관이 함께 로봇배송 시장 활성화를 위해 전력투구인 가운데 최근 배달비 인상 논란의 해법이 될지 관심이 모인다.

최근 비대면소비가 일상화되면서 배달기사 부족현상이 지속되자 자연스레 배달비 인상폭이 커지고 있다. 정부가 배달비 상승세를 잡기 위해 배달 수수료 현황을 공개하는 극약처방에 나섰지만 좀처럼 해결되지 않는 상황이다.

이에 배달로봇이 대량 보급되면 배달료가 인하될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 배달로봇은 고숙련 배달기사 보다 훨씬 생산성이 높을 것이란 것. 또한 시장을 독점한 배달플랫폼업체 외에 다양한 로봇업체가 시장에 참여하면 배달료도 하향조정될 것이란 분석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배달로봇이 이륜차 배송을 대체할 수 없을 것이란 지적도 제기된다. 규제가 풀려도 배달로봇은 오토바이 보다 속도가 현저히 느려 생산성이 낮을 것이란 지적이다. 즉 배송로봇 시장을 둘러싼 기술적, 정치적 리스크가 해결돼도 여전히 경제적 실효성은 해결되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유통업계가 실내 로봇배송 위주로 실험을 확대하는 이유가 여기 있다.

이에 관해 자율주행로봇 개발전문기업 티위니 천홍석 대표는 최근 한 토론회에서 “로봇이 기존의 오토바이 배달보다 생산성이나 비용 절감 측면에서 유리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며 “오토바이는 시속 50km나 60km로 날아다니는데 배송 로봇은 속도가 기껏해야 10km 내외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천 대표는 이어서 로봇이 대체할 수 있는 영역은 실내배송 시장이라며 “오토바이에서 내린 다음에 실내로 들어가야 하는데 그때부터 사람이 엘리베이터 타고 올라가서 음식을 전달한다”며 “이 부분에서 로봇이 오토바이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용준 기자  market@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