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장용 MLCC “1조 원 달성 목표”
삼성전기가 미래 성장 시장으로의 전환 의지를 다졌다.
17일 김위헌 삼성전기 상무는 “삼성전기의 적층세라믹콘덴서(MLCC)는 현재 시장 트렌드에 맞춰 인공지능(AI) 서버와 자율주행차에 집중하고 있다. 향후에는 휴머노이드, 우주항공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MLCC는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TV, 가전제품, 전기자동차 등 전자기기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부품으로, ‘전자산업의 쌀’이라고도 불린다.
전기를 저장했다가 반도체 등 능동부품에 일정량의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해주는 ‘댐’과 같은 역할을 한다.
크기는 작게, 전기 저장은 많이
MLCC는 원재료에 여러 종류의 첨가물을 넣어 얇게 펴 바른 다음, 그 위에 유전체와 내부 전극을 최대 600층까지 교대로 쌓아 만든다.
김 상무는 “적층과 이후 열처리 과정을 거칠 때 층들의 뒤틀림을 막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삼성전기는 이 과정에서 뒤틀림을 막기 위해 중요한 설비를 사용하며, 핵심 공법으로 여겨 많은 연구 중에 있다”고 말했다.
이렇게 생산된 제품의 크기는 머리카락(약 0.3㎜)보다 얇은 크기에서부터 5.7㎜*5.0㎜까지 다양하다. 크기는 작으면서 많은 전기를 저장하도록 만들어야 경쟁력을 갖춘다.
MLCC는 최신 스마트폰에는 1천여 개, 전기차에는 1만 8000개~2만 개 정도가 들어간다.
김 상무는 “MLCC를 만들 때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원자재다. 삼성전기는 원재료를 직접 개발하고 제작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올해 전장용 MLCC 매출, 1조 원 목표”
삼성전기는 전기차·자율주행차 시장의 성장에 발맞춰 올해 전장용 MLCC의 매출 1조 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시장조사기관인 TSR은 전장용 MLCC 시장이 2023년 4조 원에서 2028년에는 9조 5천억 원 규모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장용 MLCC는 IT용 MLCC와 역할은 비슷하지만 사용 환경이 다르다.
사람의 생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높은 수준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필요로 한다.
IT제품 대비 요구되는 수명이 길고 기술적 난이도 또한 높다. 개발 기간은 약 3배 정도 길게 소요되며 가격은 3배 이상 비싸다.
김 상무는 “삼성전기는 강건한 재료와 공법으로 차별화된 관리 아래 전장용 MLCC를 생산한다”고 자신했다.
이선행 기자 lycaon@greene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