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기 부양책 효과로 4분기, 내년도 수익성 개선 전망"
[녹색경제신문 = 정창현 기자] LG화학이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2조6704억원, 영업이익 4984억원을 달성했다고 28일 발표했다. 업황이 좋지 않은 석유화학부문에서는 적자를 기록했다.
LG화학의 3분기 실적을 보면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1%, 영업이익은 42.1% 각각 감소했다. 전분기 대비로는 매출은 3.0%, 영업이익은 22.8% 각각 증가했다.
LG화학 CFO 차동석 사장은 “어려운 경영환경속에서 당사가 보유한 우수한 공정 기술 기반의 원가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차별화된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며 “치열한 효율성 제고와 함께 성장 동력 사업을 잘 준비하여 미래 성장 기회를 선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 이라고 밝혔다.
사업부문별로는 석유화학부문에서 매출 4조8132억원, 영업손실 382억원을 기록했다. 원료 가격, 운임 비용의 일시적인 증가와 환율 하락의 영향으로 소폭 적자를 기록했다. LG화학은 4분기 원료가 하락에 따른 원가 개선과 신설 공장 가동율의 상승, 구미주 판매 물량 확대로 수익성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컨퍼런스콜에서 중국 경기 부양책으로 인한 석유화학부문의 수요 개선 효과를 묻는 질문에 LG화학 측은 “최근 중국의 강도 높은 경기 부양책으로 인한 내수 소비 진작이 전망되고, 부동산 경기 회복 등 실물 수요 개선 효과가 예상된다”며 “글로불 누적 공급과잉이 해소되고 전체적인 수급 개선을 전망한다”고 밝혔다.
4분기와 내년 시황을 묻는 질문에는 “PVC 부문에서 중국 내 부동산 업황 회복이 기대되고 인도시장 내 수급 개선이 전망된다”며 “중국의 이구환신 정책 이후 자동차와 타이어 수요가 견조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4분기에 획기적인 실적 개선은 기대하기 어렵지만 전 분기 대비 수익성 개선을 예상한다”며 “내년도에는 고부가 포트폴리오를 강화함으로써 올해 대비 수익성 개선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LG화학 여수공장 NCC 2공장 전경. [사진=LG화학]](/news/photo/202410/319730_362400_3350.jpg)
한편 첨단소재부문은 전지재료의 출하량, 판매 가격 소폭 하락과 환율 변동의 영향으로 매출 1조7124억원, 영업이익 1502억원을 기록했다. LG화학은 4분기 고객사의 연말 재고 조정과 전자소재의 계절적 비수기 진입으로 매출 및 수익성 확대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생명과학부문은 매출 3071억원, 영업손실 9억원을 기록했다. 당뇨, 백신 등 주요 제품의 제품 출하 호조를 나타냈지만 R&D 비용 증가로 소폭 적자를 기록했다.
자회사 에너지솔루션은 매출 6조8778억원, 영업이익 4483억원을 기록했다. 유럽 고객사의 수요 회복과 북미 생산 증가로 매출이 증가했으며, 물량 확대로 인한 가동률 상승과 메탈 가격 안정화로 수익성이 개선됐다. LG화학은 "4분기에는 고객사 재고조정 및 메탈가 하락 영향에도 불구, 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시스템(ESS)용 배터리 공급 확대로 물량 성장이 전망된다"고 밝혔다.
자회사 팜한농은 매출 1128억원, 영업손실 196억원을 기록했다. 작물보호제의 국내 판매가 소폭 증가했으나, 저수익 비료 화공사업 중단 영향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LG화학은 4분기에 작물보호제의 국내외 매출을 확대하고 수익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정창현 기자 lycaon@greene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