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T세포 활성 제어 인자 발굴... 난치 뇌종양 치료 가능성 개척
상태바
카이스트 T세포 활성 제어 인자 발굴... 난치 뇌종양 치료 가능성 개척
  • 이지웅 기자
  • 승인 2024.11.06 18: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왼쪽부터)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이흥규 교수, 구근본 박사. [사진=카이스트]
(왼쪽부터)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이흥규 교수, 구근본 박사. [사진=카이스트]

이흥규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한국화학연구원 감염병예방진단기술연구센터와 협력해 억제성 Fc 감마수용체(FcγRIIB)의 결손을 통한 면역관문억제제의 세포독성 T세포 불응성을 회복해 항암 작용 증대를 유도함으로써 생존율 개선 효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면역항암제는T세포의 항암 면역작용을 강화하는 항암치료 요법이다. 다만 난치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과 관련해서는 임상 시험을 통해서도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연구진이 난치성 암종에서 T세포가 만성적 항원에 노출되어 기능이 상실되거나 약화된 원인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T세포 활성 제어 인자를 발굴하고 치료 효능 증진 원리를 규명했다.

연구팀은 최근 세포독성 T세포에서 발견된 억제 수용체(FcγRIIB)가 종양 침윤 세포독성 T세포의 특성과 면역관문억제제(항 PD-1)의 치료 효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 억제 수용체(FcγRIIB)가 결손되었을때 종양항원 특이적 기억 T세포의 증가를 유도했다. 이 같은 T세포 아형은 탈진화를 억제하고 줄기세포 특성을 강화했으며, 이를 통해 항 PD-1 치료의 회복된 T세포 항암 면역반응을 이끌었다. 

또한 연구팀은 항원 특이적 기억 T세포가 FcγRIIB 결손 시 상대적으로 높은 수의 증가와 함께 지속적인 종양 조직 내 T세포 침투를 이끈다는 결과를 확인했다.

면역관문억제제에 불응성을 보이는 종양에 대한 새로운 치료 타깃을 제시했으며, 특히 교모세포종과 같은 항 PD-1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종양에 FcγRIIB 억제와 항 PD-1 치료를 병행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FcγRIIB 억제를 통한 항암 면역작용 증진 전략이 면역관문억제제의 효능을 높이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교수는 “면역관문 치료제를 이용한 뇌종양 치료 임상 실패를 극복할 가능성과 다른 난치성 종양으로의 범용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 결과로 추후 세포독성 T 세포의 종양 세포치료 활용과 접근 가능성도 확인한 결과”라고 소개했다.

이지웅 기자  game@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