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측 수익성 때문에 어쩔 수 없어
이복현 금감원장, 꾸준히 "폐쇄 신중히 고려하라" 발언

[녹색경제신문 = 유자인 기자] 17일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은행 점포 폐쇄에 반대하는 내용의 성명을 냈다. 이들은 은행의 점포 폐쇄가 가속화되면서 시민들의 금융 접근성 저하와 임직원의 업무 부담 가중이 우려된다면서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개입을 촉구했다.
금융산업노조는 김형선 위원장 명의로 '무분별한 점포폐쇄, 금융당국이 해결하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노조는 "국내 은행들의 점포폐쇄가 가속화되고 있다. 2020년 12월 이후 최근 5년간 은행 영업점 수는 6,411개에서 5,646개로 11.9%(765개) 줄었다"며 "특히 지점 형태는 13.3%(730개) 감소한 반면, 직원 수가 적은 출장소 형태는 3.8%(35개) 줄어드는 데 그쳤다"고 말했다.
은행측은 접근성 관련 지적에 대해 운영비용 문제와 비대면 은행업무의 확산에 따라 어쩔 수 없는 조치라는 반응이다.
금감원, 점포 폐쇄 경고한 적 있어
지난해 11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은행권이 점포폐쇄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금융권이 디지털 전환과 비용 절감에 집중하며 물리적인 점포 등은 축소하는 경향을 보여왔다"며 "이 과정에서 고령자, 장애인, 비(非)도심 거주자 등 상대적으로 취약한 금융소비자의 금융거래 환경이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일견 불가피한 추세로 볼 수 있으나 금융산업이 가진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면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지난 5년간 약 1천개의 점포가 사라지고, 약 1만개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이 줄어드는 과정에서 금융업계가 이런 책무를 충분히 고민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2023년 6월 은행들의 영업점 폐쇄에 금융위원회는 고령층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우체국을 은행으로 활용하는 등 은행 대리업을 도입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은행법 개정부터 금융사고 관리까지 쉽지 않은 과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10월 국회에서도 관심을 보이는 등 많은 논의가 이뤄졌다.
또 2023년 4월 금융당국은 지난 2023년 4월 ‘은행 점포폐쇄 내실화 방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다만 노조측에서는 이 역시 부족하다며 “무분별한 점포폐쇄는 금융당국의 방관과 금융지주의 과도한 이익추구가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유자인 기자 pol@greene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