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ELS 배상에 건전성 타격 입은 은행권...금융당국, 자본비율 산정 부담 줄여 구원투수로 등판?
상태바
홍콩 ELS 배상에 건전성 타격 입은 은행권...금융당국, 자본비율 산정 부담 줄여 구원투수로 등판?
  • 강기훈 기자
  • 승인 2024.06.10 17: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대 금융지주, 올해 1분기 말 CET1 12.8%
전분기 말 대비 0.2%p 하락
향후 자산 건전성 추가 악화할 가능성 높아
금융당국, 자본비율 산정 시 운영리스크 의무 반영 기간 줄이는 방안 검토
"은행권 먼저 ELS 사태 재발 방지 대책 세워야"

[녹색경제신문 = 강기훈 기자]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

홍콩 ELS 사태로 인해 은행권의 자산 건전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당국은 자본비율 산정과 관련해 부담을 경감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중이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금융지주와 은행들이 홍콩 ELS 손실 사태로 인해 보통주자본비율(CET1)이 크게 하락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CET1은 보통주 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눈 값을 뜻한다. 이 지표는 금융사의 자산건전성, 즉 손실흡수능력을 보여주는 지표 중 하나다.

위험가중자산은 신용 리스크와 운영 리스크가 반영된다. 은행권이 홍콩 ELS 배상을 위해 쌓은 충당부채는 운영 리스크 산출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미 국내 금융지주들의 자산 건전성은 소폭 악화하고 있다.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농협)의 올해 1분기 말 기준 CET1은 평균 12.8%로 집계돼 작년 말 13%와 견줘 0.2%포인트(p) 하락했다. 

향후 홍콩 ELS에 대한 법정 소송과 금융당국이 부과하는 과징금까지 생각하면 CET1이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CET1이 하락하면 자산건전성이 악화될 뿐만 아니라 주주환원 여력 또한 줄어들게 된다. 금융지주들은 대개 이 비율이 13%를 초과할 때 주주환원 확대 정책을 펼친다. 

은행권이 CET1 하락으로 인해 홍역을 앓고 있자 당국이 구원투수로 나설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실제로 금융감독원은 CET1 하락을 막기 위해 운영 리스크 경감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 기준에 따라 금융지주는 홍콩 ELS 사태로 발생한 비용을 10년간 운영 리스크 산출 시 반영해야 한다. 이대로라면 2033년까지 자본비율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금감원은 충당부채를 운영 리스크에 반영해야 하는 기간을 3년으로 줄일 것을 검토하고 있다. 금감원 측은 규정상 10년이지만 3년이 지나면 당국의 재량에 따라 손실 요소를 운영 리스크 산출 시 배제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홍콩 ELS 관련 운영리스크에 대해 정의해달라는 은행권의 건의가 있다"며 "금감원 내부에서 이를 가능하다고 보고 현재 검토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ELS 사태가 재발할 우려가 없을 경우에 한해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즉 은행권이 위험 관리를 선제적으로 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갖춰져야 한다는 논리다. 

해당 관계자는 "당국이 재량권을 마음대로 사용할 순 없다"며 "이러한 유형의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은행권이 구조적 변화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기훈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