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행, 지방경기 침체 및 인구 감소·비대면거래 일상화에 '직격타'
지방 대출규제 완화 시 추가 타격 불가피... '제4인뱅' 출범도 '달갑지 않아'
[녹색경제신문 = 이준성 기자] 지방은행의 위기가 올해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은행에 이미 가계대출 규모를 추월 당한 상황에서 지방에 대한 대출규제가 완화돼 시중은행의 지역 공략이 확대되면 입지가 더욱 축소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15일 <녹색경제신문>의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해 5월 시중은행으로 전환된 iM뱅크를 포함한 6대 지방은행(부산·경남·전북·광주·제주·iM)의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9조446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기간 가계대출 잔액으로 69조5098억원을 기록한 인터넷은행 3사(카카오·케이·토스)에 632억원 뒤쳐지는 수치다.
지방은행이 인터넷은행에 가계대출 규모에서 밀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당장 지난해 상반기만 해도 6대 지방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69조4366억원으로 인터넷은행(68조9254억원에 5000억원 이상 앞섰다.
그러나 이 같은 '역전' 현상은 시점의 문제일 뿐 언젠가는 벌어질 일이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그간 인터넷은행의 가계대출 성장세를 가팔랐지만 인터넷은행은 말그대로 '지지부진' 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로 토스뱅크가 출범해 합류한 2021년 인터넷은행 3사의 가계대출 잔액은 33조원에 불과했지만, 이후 2022년 46조원, 2023년 61조원, 지난해 3분기 69조원으로 3년 새 37조원 가까이 불어났다. 이와 달리 6대 지방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같은 기간 62조원에서 69조원으로 약 7조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방은행으로서는 당초 인터넷은행에 2배 가량 앞서 있었던 가계대출 규모가 3년 만에 뒤집힌 셈이다.
이는 비대면거래 증가와 지방경기 침체 및 인구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비대면거래가 일상화되면서 모바일 등에 친숙한 2030세대 고객을 중심으로 인터넷은행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한 반면, 지방은행은 지역 경기 불황과 인구 감소에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지난해 3분기 말 기준으로 카카오뱅크의 가계대출 잔액이 지방은행 중 가계대출 규모가 가장 큰 iM뱅크보다 2배 정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지방은행의 존재감이 그만큼 희미해져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전했다.
여기에 더해 지방은행 입장에서 더욱 뼈아픈 부분은 금융당국이 지방에 대한 가계대출 규제 완화를 구상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실수요자와 지방 가계대출 수요자들이 더 여유를 느낄 수 있도록 자금 공급을 원활히 하고 특히 지방의 경우 수요자가 더 여유를 느끼게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전반에 대한 관리 강화 기조는 이어가되 지방에 한해서는 '여유'를 두겠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진다. 규제 완화책으로는 은행의 대출 연간계획에서 지역 총량을 조금 더 주는 방식과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시행 시 지역별로 스트레스(가산) 금리를 조정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문제는 지방에 대한 가계대출 규제가 풀리면 시중은행이 수익성 강화를 위해 지방 공략을 확대할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지방은행으로서는 올해 역시 '전통의 강자'인 시중은행과 '신진 세력'인 인터넷은행 사이에서 샌드위치 신세가 될 가능성이 적지 않은 셈이다.
올해 출범을 앞둔 '제4인터넷은행' 역시 지방은행에게는 달갑지 않은 존재다. 금융당국이 제4인터넷은행에 대한 평가 기준 중 하나로 비수도권 자금 공급 계획을 제시한 터라, 제4인터넷은행 출범 시 지방은행의 경쟁 강도는 한층 높아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지방 경기가 갈수록 악화 중이라는 점 등을 고려하면 지역에 영업 기반을 둔 지방은행이 태생적인 한계를 이겨내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본다"며 "지방은행육성특별법 등의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해 지방은행 운영에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준성 기자 financial@greened.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