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3분기 영업이익 3924억원...전년比 7.5%↓
상태바
SKT, 3분기 영업이익 3924억원...전년比 7.5%↓
  • 백성요 기자
  • 승인 2017.11.06 09: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마케팅 비용 및 감가상각비 증가 영향으로 영업익 감소...SK하이닉스 최대실적으로 당기순이익↑

SK텔레콤이 3분기 392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대비 7.5% 감소한 수치다. 

6일 SK텔레콤은 국제회계기준(K-IFRS)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2017년 3분기 매출 4조 4,427억원, 영업이익 3,924억원, 당기 순이익 7,930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무선 가입 고객 증가 및 SK브로드밴드·SK플래닛 등 주요 자회사의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마케팅 비용 및 감가상각비 증가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 감소했다. 또, 당기순이익은 SK하이닉스 지분법 이익 상승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6.2% 증가했다.
 
3분기 말 기준 SK텔레콤 전체 가입 고객은 전년 동기 대비 70만 5천명 늘어난 3,016만명을 기록했으며, 이 중 LTE 고객은 2,257만명으로 전체 가입 고객의 74.8% 수준이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사진제공=SK텔레콤>

SK텔레콤의 주요 연결 자회사는 실적이 개선되는 추세다.
 
SK브로드밴드의 매출은 IPTV 가입자 순증 및 유료 콘텐츠 판매 증가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한 7,602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298억원을 달성했다. 또, 모바일 미디어플랫폼 옥수수 가입자도 3분기에 63만명 증가해 총 811만명 가입자를 확보하는 등 미디어 분야에서 성장하고 있다.
 
SK플래닛은 11번가의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한 2,85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11번가는 효율적인 마케팅을 통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6% 성장했다. 또, SK하이닉스는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하며 연결 당기순이익 증가에 기여했다.
 
SK텔레콤은 AI · IoT · 자율주행 등 신사업 분야에서 성장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먼저, SK텔레콤은 자사의 AI 플랫폼 ‘누구(NUGU)’를 T맵과 키즈폰에 탑재해 고객 편의성을 강화하는 한편, 더욱 많은 음성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게 되었다. SK텔레콤은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음성인식 성능을 고도화하고, 고객 맞춤형 상품 ∙ 서비스를 선보여 나갈 계획이다. 또, ‘누구’를 이동통신 · 미디어 · IoT · 커머스 등 자사가 보유한 서비스와 지속적으로 연계해 나갈 예정이다.
 
IoT 분야에서 SK텔레콤은 30여 개 건설사와 제휴를 맺고 자사의 스마트홈을 1만 3천 세대에 적용했다. 또, 65개 제조사의 350여 가전기기를 자사 스마트홈 시스템에 연동하는 등 IoT 생태계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아울러 SK텔레콤은 엔비디아를 포함한 국내외 파트너와 자율주행 기술을 공동 개발해 나가고 있다. 특히, 지난 9월에는 경부고속도로 만남의 광장-수원신갈 나들목 구간에서 자율주행 시험운행을 성공해 3D HD맵·V2X 등 자율주행 핵심 기술을 고도화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유영상 SK텔레콤 전략기획부문장은 “통신 시장을 둘러싼 제반 환경으로 인해 성장세를 이어 나가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주요 사업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해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해 나가겠다”며, “특히, AI·IoT·자율주행·미디어 등 신사업 분야에서 중장기 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백성요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