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삼성전자 의존도 14.6%로 너무 높아...10대 기업 44.3% 차지, 미국·일본과 큰 차이
상태바
한국경제, 삼성전자 의존도 14.6%로 너무 높아...10대 기업 44.3% 차지, 미국·일본과 큰 차이
  • 박근우 기자
  • 승인 2018.09.05 10: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매출 상위 10대 기업의 지난해 매출규모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44.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두 회사 매출만 GDP의 20.5% 수준이었다. 

반면 미국, 일본은 상위 10개 기업의 GDP 대비 규모가 각각 11.8%, 24.6%로 한국의 4분의 1 또는 절반에 그쳤다.

5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한·미·일 3국의 지난해 매출 상위 10대 기업 연간 매출액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6778억 달러로 GDP 1조5308억 달러의 44.3%였다.

일본 10대 기업 매출은 1조1977억 달러로 GDP 4조8721억 달러의 24.6%였고, 미국은 2조2944억 달러로 GDP 19조3906억 달러의 11.8%에 그쳤다.

더욱이 한국 10대 기업의 GDP 대비 매출 규모는 2015년 41.5%에서 2017년 44.3%로 2.8%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미국은 11.8%로 동일했고, 일본은 25.1%에서 24.6%로 소폭 떨어졌다.

이같은 조사 결과는 한국 경제의 대기업 편중도가 높다는 것을 방증한다.

국내 10대 기업 중에서도 삼성전자가 한국 GDP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4.6%로 미국과 일본 대표기업 대비 월등히 높았다. 미국의 1위 기업 월마트는 2.6%, 일본의 도요타자동차는 5.7%였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매출 2242억 달러로, 미국 1위인 월마트(5003억 달러)의 44.8%, 일본 1위인 도요타자동차(2767억 달러)의 81.0%다. 하지만 한국의 GDP 규모가 미국, 일본의 약 10분의 1, 3분의 1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삼성전자의 GDP 대비 규모는 너무 크다는 것.

삼성전자 매출은 반도체 호황 덕에 2015년 1704억 달러에서 지난해 2242억 달러로 31.6%나 늘어남에 따라 GDP 대비 규모도 14.6%로 2.3%포인트 상승했다.

이어 현대차 매출이 지난해 902억 달러(GDP 대비 규모 5.9%)로 2위이고, LG전자(575억 달러, 3.8%), 포스코(568억 달러, 3.7%), 한국전력공사(560억 달러, 3.7%), 기아차(501억 달러, 3.3%), 한화(472억 달러, 3.1%), 현대모비스(329억 달러, 2.1%), 삼성디스플레이(321억 달러, 2.1%), 하나은행(309억 달러, 2.0%)이 ‘톱10’에 랭크됐다.

10대 기업을 그룹별로 보면 현대차그룹이 현대차와 기아차, 현대모비스 등 계열사가 3개사로 가장 많이 포진했고, 삼성그룹은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등 두 곳이었다.

한국 경제가 삼성전자와 10대 기업 의존도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구조적 취약성을 의미한다.

이번 조사에서 GDP는 세계은행 공시 기준, 매출은 결산보고서 연결 기준으로 집계했다.

박근우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